8월30일, 서울시와 서울관광마케팅(주)은 하루 종일 신경을 곤두세워야만 했다. 서울관광마케팅(주)을 재단 형태로 전환하는 문이 열리느냐 마느냐가 결정되는 날이어서였다. 반관반민 형태의 현 조직으로는 여러 한계가 있는 만큼 서울시가 100% 지분을 보유하는 재단으로 변경해 공적 기능을 강화하고 업무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목적이었다. 지난해부터 주주사 설득과 지분 정리 작업을 추진해왔던 장기 프로젝트다. 이날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심의에서  ‘서울 관광 재단 설립 조례안’이 통과되면 내년 초에는 서울관광재단이 출범할 수 있었다.

기대와 달리 조례안은 의회 심의를 통과하지 못했다. 오히려 호된 질책을 받았다. 전 김병태 사장의 갑작스러운 사임으로 대표이사가 공석인 상태에서 무리하게 조직 변경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며 신중하게 접근할 것을 요구했던 서울시의회 김혜경 의원은 비판 수위를 더 높였다. 재단 설립에 관한 조례안이 통과되지도 않았는데 다음 단계 논의사항인 재단 출연금에 대한 조례안까지 함께 발의한 게 발단이었다. “시장 역점 사항이므로 무조건 통과시켜줄 것이라 생각하고 의회를 우롱한 행위”라고까지 꼬집었다. 재단 전환 후 사업모델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도 지적 받았다. 대표대행이 법인 해산과 설립 등 일상수준을 넘는 중요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은 위법적 소지가 있다는 점도 다시 지적했다.

서울시는 물러설 수밖에 없었다.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의원의 전원 동의가 있을 때까지 무리하게 추진하지 않겠다고 공언하고 다음을 기약했다. 다행인 것은 부결이 아니라 보류라는 점이다. 비록 모두가 동의하지는 않더라도 대부분은 서울관광재단 설립 취지에 공감하고 있다. 서울시를 질타한 이혜경 의원조차 “서울시 관광전담기구 쇄신 필요성이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인정하지 않았는가. 

관건은 절차와 공감대다. 아무리 필요성이 높고 취지가 좋다고 하더라도 이해 관계자의 공감대가 부족하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없다. 서울시와 서울관광마케팅(주)에게 주어진 시간은 두 달이다. 10월 재심의 때도 비슷한 지적이 반복된다면 서울관광재단으로 가는 문은 영영 닫힐 수밖에 없다.
 
김선주 기자 vagrant@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