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말 기준 가입률 28%, 매년 하락해 역대 최저 
-‘소재지 협회 필수 가입’ 조건도 걸림돌…대책 절실

여행사들의 ‘여행공제회 이탈’이 지속되고 있어 대책 마련 필요성이 높아졌다.
한국관광협회중앙회 여행공제회에 따르면, 2017년 6월30일 기준 여행공제회를 통해 영업보증보험을 가입한 여행사는 전체 등록 여행사 중 28%에 불과했다. 여행사 10곳 중 3곳이 채 되지 않는 셈이다. 2016년 30.0%에서 더 하락한 것은 물론 20%대로까지 주저앉았다. 2011년 가입률이 47.2%에 달했던 점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급락’이다.

여행공제회에서 이탈한 여행사들은 대부분 민간 보험회사인 서울보증보험이 흡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 관광진흥법상 모든 여행사는 의무적으로 소비자 피해구제를 위한 목적으로 각 업종별로 정해진 액수의 영업보증보험에 가입하고 이를 유지해야 한다. 한국관광협회중앙회가 운영하는 여행공제회 뿐만 아니라 민간보험회사인 서울보증보험을 통해서도 가입할 수 있다. 과거에는 여행공제회의 보험요율이 서울보증보험에 비해 훨씬 낮았기 때문에 여행사 대부분 여행공제회를 통해 영업보증보험에 가입했다. 하지만 서울보증보험이 공격적으로 요율 인하에 나서면서 양측 간의 경쟁구도도 첨예해졌다. 현재 양측의 보험요율(서울보증보험 0.329%, 여행공제회 0.32%~0.91%)은 최하한선 수준으로까지 하향 평준화됐다.

보험 요율이 비슷한데도 여행사들이 여행공제회를 외면하는 가장 결정적인 이유로는 ‘협회 회원 가입 조건’이 꼽힌다. 소재 지역 관광협회에 회원으로 가입해야만 여행공제회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여행공제회는 전국 지역별관광협회와 한국여행업협회(KATA)를 일종의 대리점으로 활용하고 있다. 각 협회는 여행공제회 가입 업무를 대행하고 그에 따른 ‘성과금’으로 보험대행액수의 30%를 받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각 협회는 회원사로만 영업보증보험 가입 서비스 대상을 한정하고 있어 여행사로서는 원하지 않더라도 협회에 가입하고 회비를 부담해야만 한다. 회비 부담을 상쇄할 정도로 여행공제회의 보험요율이 서울보증보험보다 낮았을 때는 별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양측 간의 보험요율이 비슷해진 지금은 다르다. “굳이 협회 회비 부담까지 떠안으면서 여행공제회를 이용할 필요가 있느냐”는 반응이다. 여기에는 협회로부터 이렇다 할 회원 서비스를 받지 못한다는 인식도 깔려 있다.

여행공제회 운영위원회에서도 여행사를 잡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비회원에게도 영업보증보험을 가입해 주는 방안이 거론됐지만 거기까지였다. “사고 발생시 협회가 피해접수 등의 업무를 처리하는데 비회원사에게까지 그럴 수는 없지 않느냐”는 협회의 반발 때문이다. 하지만 그 논리에 의존한 채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결국 여행공제회 존립 자체마저 위태로워 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회원으로만 국한하지 말고 비회원에게도 여행공제회 가입 업무를 제공한다면 보험 가입 건수가 증가해 회비 수익 이상의 이익을 얻을 수도 있는 만큼 각 협회도 이제는 건설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김선주 기자 vagrant@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