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주 기자
김선주 기자

일본의 무역보복과 일본 보이콧 등으로 사회 전반이 어수선하다. 여행업계도 직격탄을 피할 수 없었다. 일본여행 예약취소는 물론 신규 예약 급감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의 악몽이 떠오른다는 반응도 많다. 인바운드 부문이라고 다를 것은 없다. 지금 한창 들어와야 할 가을철 인센티브나 여행견적 문의가 뚝 끊겼다. 한숨만 커졌다.


각종 한일 교류행사들도 위태롭다. 여행업계에서는 8월말 인천에서 개최될 예정인 ‘한중일 관광장관회의’를 두고 걱정이 크다. 3국간 관광교류 활성화를 위해 3국이 번갈아가면서 개최하는 관광당국 간 회의이니 무게감도 크다. 회의 기간에 각국 관광업계간 인-아웃바운드 교류도 이뤄지는 만큼 민간 교류의 기회로도 손색이 없다. 7월31일 현재, 당초 계획대로 진행한다는 게 정부 입장이지만, 한국과 일본 간 갈등 양상에 따라서는 파행될 가능성도 낮지 않다.


이래저래 혼란스런 상황이다. 이런 때일수록 확고하고도 일관된 관광 행정에 대한 관광업계의 기대도 클 수밖에 없다. 업무 일관성과 연속성이야말로 혼돈의 안개를 뚫는 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는 거꾸로 된 행보로 빈축을 샀다. 7월 말 느닷없이 문화체육관광부 주요 관광조직 담당자 상당수를 변경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광행정 수장이라고 할 수 있는 관광정책국장은 부임한 지 일 년도 채 안됐는데 이번에 변경됐다. 관광정책과장과 국제관광과장도 새로 왔다. 사무관과 주무관 중에서도 새로운 보직을 받거나 업무가 변경된 사례가 여럿이다. 새 업무를 파악하는 데만도 시간 깨나 소요된다. 관광업계 역시 새로 온 그들에 적응하느라 다시 애를 쓸 수밖에 없다. “이제 말 좀 통하나 싶었더니 어수선할 때 느닷없이 변경됐다”는 토로가 여기저기서 나왔던 이유다.  


관광 공무원의 잦은 교체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 비효율성과 낭비적 요소를 또 말해 뭣하랴. 그래도 떨칠 수 없는 불만은, 왜 굳이 이런 때에 했느냐는 점이다. 어느 때보다 행정 연속성이 중요한 이 때에 말이다.

 

김선주 기자 vagrant@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