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 연동 차츰 확산, 여행사 저항감 낮아져
“개발 비용, 시스템 숙지 등 시행착오 많아”

국내 LCC가 여행사 및 플랫폼과 바쁘게 API 연동에 나서고 있다. 비용 절감은 물론이고 발권 유연성까지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항공사는 여행사에 VI에 상응하는 커미션을 제공하는 등 바쁘게 API 활성도를 높이고 있다. 


지난해부터 본격화 되기 시작한 국내 LCC의 API 개발이 계속 탄력을 받고 있다. GDS에 지불하는 세그피 부담은 물론이고 최종적으로는 여행사에 지급하는 VI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비용’이라는 항공사 속성 때문에라도 필연적인 변화이기도 하다. 


초반 저항감이 높았던 여행사의 분위기도 달라지고 있다. GDS라는 기존 툴이 아닌 항공사 개별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는 데서 인력 소모 및 번거로움 등이 여행사 저항감의 바탕이었다. 또한 GDS에 쌓는 실적과 그에 따른 VI도 여행사의 주요한 수익이었기 때문에 항공사 개별 시스템으로의 이탈이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적극적으로 API 연동에 나서는 등 경쟁적으로 개발에 나서고 있다. API 연동을 요구하는 항공사들이 여행사의 VI 손실에 상응하는 커미션을 제공하는 등 반대급부를 챙겨주면서 여행사의 위험 부담이 줄어든 것도 주요한 요인 중 하나다. 


선발대에 선 항공사는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등이다. 제주항공은 현재 익스피디아와 해외발 항공권에 한해 API 연동을 마쳤고 이어 타이드스퀘어, 노랑풍선 등과 부분적 연동 작업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티웨이항공은 한국발을 포함해 API가 연동된 상태다. 같은 맥락에서 웹발권을 권장하는 진에어도 지난해 여행사 전용사이트를 구축, 그룹 발권을 진에어 웹으로 통합했다. 최근에는 웹발권 시에도 BSP 정산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강화해 여행사의 이용 편의를 높였다. 


그러나 국내 항공 유통이 GDS 기반으로 자리 잡혀 있었던 만큼 시행착오도 만만치 않은 상태다. 한 여행사 관계자는 “우선 개발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 항공사별로 로직이 다르고, 개발 후에는 항공사별로 시스템을 숙지해야 하는데 이 또한 만만치 않다”라고 말했다. 


차민경 기자 cham@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