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이 대한항공의 난징 스터디 팸투어로 촉발된 갑질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다. 하지만 해당 스터디 팸투어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탓에 잠정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난징
아시아나항공이 대한항공의 난징 스터디 팸투어로 촉발된 갑질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다. 하지만 해당 스터디 팸투어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탓에 잠정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난징

●지금이 어느 땐데…‘그릇된 애사심’에 아시아나 곤혹


이- 아시아나항공이 ‘팸투어 갑질' 논란으로 여행업계를 떠들썩하게 했다. 
김- 이메일을 통해 대한항공의 난징 팸투어에 참여하지 말라는 투로 압박했다는 점이 매우 놀랍다. 종종 전화로 서운한 마음을 표현한다고들 하는데 이번에는 아마추어 같았다.
손- 표현이 상당히 강압적이었다. 
김- 아무리 노선 담당이라고 해도 직책이 대리인데 여행사 팀장들에게 ‘현명하게 판단하라’고 한 것은 지나친 것 같다. 
손- 아시아나항공은 개인의 일탈 행위로 선을 그었다. 해당 대리는 보직도 변경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계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니 회사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직원인 것 같다.
김- 애사심이 잘못된 방향으로 표출됐다.
손- 대한항공에서 난징 스터디 팸투어 안내 메일을 1월16일 오전 9시40분 정도에 보냈는데, 아시아나항공에서 여행사한테 압박 메일을 보낸 시각이 같은 날 오전 11시30분이었다. 2시간 만에 대응했다. 
김- 그나마 아시아나항공이 빠르게 대처하고 진화해 일이 더 커지지 않은 것 같다. 갑질은 여전히 사회적으로 민감한 이슈라 회사 자체를 흔들 수도 있었던 사안이었다. 더군다나 HDC가 인수하면서 관심이 집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더 조심했어야 했다. 
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묻힌 감이 있다. 게다가 해당 팸투어도 잠정 연기됐다. 
편- HDC에서 아시아나항공 관련 내부 고발을 받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내부 직원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비리나 부당한 일 등을 제보할 수 있다고 한다.  
   
●피로도 높아진 항공권 플랫폼


이- 새로운 항공권 플랫폼들이 론칭을 앞두고 있다. SSG닷컴과 트리플은 익숙한 반면 티켓박스와 플라잉라쿤은 생소하다. 
손- 티켓박스와 플라잉라쿤은 국내 스타트업으로 항공권만 취급하는 플랫폼이다. 
김- 항공권 플랫폼은 이제 조금 진부한 느낌이다. ‘이제서야 진출해도 괜찮을까’라는 걱정마저 든다. 획기적인 모델이 아니면 주목도가 떨어질 것 같다. 글로벌 OTA를 중심으로 시장이 굳어진 감이 있다.
손- 항공권만으로 경쟁하는 것 자체가 위험 부담이 있어 보인다. 
이- 요즘은 트리플처럼 여행 콘텐츠를 제공하고 호텔, 액티비티 등을 판매하다 항공권까지 판매하는 식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게 트렌드인 것 같다. 물량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수익 측면에서 우려스럽다.
김- 실제로 몇몇 플랫폼은 소리 소문 없이 사라졌다.
이- 그나마 SSG닷컴은 기존 고객들이 많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을 것 같다. 다만 유통 대기업이 굳이 성장 가능성과 수익성이 제한적인 항공권 사업까지 진출해야 하나 싶다. 신라트립처럼 기존 고객들을 위한 하나의 서비스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든다.
김- 최대 출국자 3,000만명을 나눠 먹는 상황이다. 여행사 입장에서도 더 이상의 외부 채널은 필요 없을 것 같다. 판매 채널이 부족해서 못 파는 상황은 아니다. 
이- 여행사도 항공사도 자사 웹사이트로 들어오는 게 가장 좋다. 입점하는 곳이 늘어날수록 수수료 지출은 늘어나고, 수익은 줄어들기 때문이다. 외부 채널 관리를 위한 품도 많이 든다. 직원들 입장에서는 일은 많아지는데 가시적인 성과는 크지 않으니 여러모로 힘들 것 같다. 패키지 플랫폼도 마찬가지다. 플랫폼마다 입력해야 하는 정보가 다르다 보니 손이 많이 간다고 한다. 
편- 플랫폼 수가 일정 수준이면 그럴 수 있다. 그렇지만 반대로 너무 많아지면 여행사 등의 공급자들은 모든 플랫폼에 다 들어갈 수 없는 노릇이니 자사에게 유리한 플랫폼에 집중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플랫폼들이 오히려 공급자를 놓치지 않기 위해 더 나은 조건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플랫폼 간의 경쟁도 심화될 것 같다.


●패키지도 홉온 홉오프 


이- 하나투어가 ‘퍼즐팩’ 카드를 다시 꺼냈다. 2004년 처음 출시했을 때와는 분명 다르지만 콘셉트는 비슷하다. FIT가 특정 일정만 패키지에 참여했다가 일정이 끝나면 빠지는 형태다.
김- 내 스타일이다.
손- 조금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얼핏 봐서는 복잡한 것 같다.
이- 퍼즐팩의 경우 전체 패키지 일정에 참여하는 한국 출발 팀이 있다. 이 패키지 상품에 중간중간 투어텔과 현지투어 형태로 FIT가 조인하는 방식이다. 하나투어가 따로따로 판매하던 상품들을 퍼즐팩이라는 이름으로 합쳐놓았다. 
김- 일정 중에 멤버가 계속 바뀌겠다. 
손- 패키지의 경우 최소 출발 인원이 정해져 있다. 이건 어떻게 진행되는가. 
이- 한국에서 패키지 팀이 출발을 못하더라도 현지 투어 및 투어텔에 참여하는 인원이 4명만 되면 출발을 보장한다. 하나투어에서는 최소 출발 보장 인원이 적은 게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김- 이번 휴가 때 말레이시아 여행을 비슷한 방식으로 즐겼다. 모든 일정을 패키지로 참여하는 게 부담스러워서 이틀 정도만 현지 여행사의 투어에 참여했다. 퍼즐팩도 좋은 시도라고 생각한다. 
이- 퍼즐팩으로 인솔자들의 업무도 늘어날 것 같다. 인원 확인 등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늘어남에 따라 인솔자나 가이드의 역할이 더 중요해질 것이다.
편- 랜드사도 마찬가지다. 인원에 따라서 차량을 그날그날 다르게 섭외해야 할 것 같다.
김- 현지에서 데이투어 운영하는 여행사들은 지금도 그렇게 운영하고 있다. 인원이 적으면 승합차, 20명 넘으면 대형 버스를 이용하는 식이다.
지- 전체 일정에 참여하는 패키지팀 입장에서는 인원이 고무줄처럼 줄었다 늘어났다 하는 것에 불만을 가질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김- 그런 부분은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패키지 여행을 해보면 안다. 일정은 함께 하지만 서로 참견하지 않고 각자의 여행을 즐기기 때문이다.
곽- 퍼즐팩 가격은 메리트가 있나. 
이- 기존 패키지 가격대와 비슷하다. 투어텔과 현지투어도 마찬가지다. 

 

*취재후는 한 주간의 취재 뒷얘기를 담는 자리입니다.
참가자 김기남, 김선주, 천소현, 손고은, 김예지, 이성균, 강화송, 이은지, 곽서희 기자
*기자 이름 성으로 표기 (편=김기남 편집국장, 지=이은지 기자)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