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31일까지, 5개 LCC 총 1,260억원 융자
정부 지급보증 및 융자 확대 등 대책 필요

코로나19 여파로 항공사들이 벼랑 끝에 몰렸다. 대한항공마저 전 직원을 대상으로 휴업에 들어가는 등 항공사들이 전례 없는 위기를 겪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정부의 속도감 있는 실질적 지원책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대한항공은 4월16일부터 10월15일까지 6개월 간 국내에서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부서별로 필수 인력을 제외한 여유 인력이 모두 휴직에 들어간다. 아시아나항공도 4월부터 모든 직원들을 대상으로 최소 15일 이상 무급휴직을 시행하고 있다. 3월부터 이스타항공이 셧다운에 돌입하는 등 FSC와 LCC 모두 강도 높은 자구책을 시행하며 버티기에 돌입했다. 


4월9일 현재 정부 차원의 항공사 자금 지원 방안은 ‘LCC 3,000억원 융자 지원’이 전부다. 항공사들은 매달 막대한 고정비용을 지불하고 있지만, 지원책을 발표한 지 두 달째인 현재 ▲에어부산 300억원 ▲에어서울 200억원 ▲제주항공 400억원 ▲진에어 300억원 ▲티웨이항공 60억원 총 1,260억원만이 지원된 상태다. 


항공산업 지원을 위해서는 속도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높다. 항공업계 관계자들은 항공산업이 국가기간산업임을 강조하며 “정부 지급보증 및 융자 확대 등의  적극적인 대안을 보다 빠르게 시행해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 LCC 관계자는 “지원책을 발표한 지 한 달이 지난 3월 중순에서야 첫 융자지원이 이뤄졌다”며 “항공기 리스 비용을 계속 부담해야하는 항공사로서는 한시가 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4월8일 개최된 대통령주재 제4차 비상경제회의에서는 선결제·선구매를 통해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는 방안도 나왔다. 공공부문이 최종구매자로서 선결제·선구매 제도를 도입해 항공업계에 계약금액의 80%까지 선지급한다는 방침이다. 


항공시장 정상화를 위해 보다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국토교통부는 현재 ▲정류료(주기료) 3~5월 전액 면제 ▲항행안전시설 사용료 4~6월 납부 유예 ▲착륙료 3~4월 감면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코로나19 여파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단기적인 감면·면제 대책에 머물고 있는 셈이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착륙료 감면 기간 등을 대폭 연장하는 대책을 마련해 추후 항공사들이 적극적으로 항공편을 띄울 수 있도록 유인책 역할을 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은지 기자 even@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