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영업불가, 특별고용지원으로는 한계
집합 제한·금지업종에만 초점…여행업도 절실

여행업에 대한 3차 재난지원금 지원 규모를 피해업종과 비슷한 수준으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텅빈 여행사 사무실 / 이성균 기자
여행업에 대한 3차 재난지원금 지원 규모를 피해업종과 비슷한 수준으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텅빈 여행사 사무실 / 이성균 기자

정부가 3차 재난지원금 대상과 규모 확정에 골몰하는 가운데, 여행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달라는 목소리가 연일 커지고 있다.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형태로 지급된 2차 재난지원금의 경우 여행사는 일반업종에 포함돼 영업제한 업종보다 50만원, 집합금지 업종보다 100만원 적은 100만원의 지원금을 받는 데 그쳤다.

올해 어느 업종보다 여행업이 큰 피해를 받은 것을 고려하면 지원금 규모가 아쉽다는 지적이 많았다. 실제로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코로나19가 가져온 소비 행태의 변화’에 따르면, 약 230개 업종 중 여행업의 매출 감소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3차 재난지원금에서도 여행업이 뒷전으로 밀려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어서 여행업계는 노심초사하고 있다. 3차 재난지원금의 예산 규모가 지난 2차(7조8,000억원)보다는 줄어들 게 확실시되고 있고, 정부도 3차 대유행에 따라 타격을 입은 업종을 중심으로 지원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일부 언론매체는 예산이 줄어든 만큼 3차 지원은 이전보다 더 집합금지 및 영업제한 업종에 집중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예상과 각종 논란에 기획재정부는 지난 16일 ‘코로나 3차 확산 피해업종.계층 맞춤형 지원의 지원 시기.대상.규모.방식 등 구체적 내용은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업계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A여행사 대표는 “거리두기 단계가 격상되더라도 영업이 일정 수준 가능한 업종보다 여행업에 대한 지원이 적은 건 아쉽다”며 “여행업은 1년 내내 고통받고 있다는 사실을 정부가 적극 반영했으면 한다”고 전했다.


특별고용지원업종에 대한 지원정책의 실효성 문제도 여전하다. 고용지원 혜택을 받는 업체가 제한적이고, 직원 수가 많지 않은 영세업체 대부분이 현재 고용유지를 포기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코로나19 사태가 길어질수록 고용유지 여력도 현격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지방 B여행사 대표는 “개인 대출까지 받아 간신히 직원 휴업수당을 마련했지만, 내년에는 이마저도 힘들 것 같다”며 “여행사 사업주를 위한 긴급하고,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이성균 기자 sage@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