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억원 중 약 6억원 소진… 미사용 항공권은 환불
시스템‧인력‧보험료 등 리소스 대비 마이너스 업무

지난해 항공권 선구매 지원 사업은 실사용률 약 2%에 그치며 마무리됐다. 코로나19로 인해 타격을 받은 항공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진행된 사업이지만 취지가 무색한 결과로 남았다. 국토교통부는 항공사들이 요청할 경우 올해도 해당 지원 사업을 다시 추진하는 방안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항공사들은 코로나19와의 전쟁이 끝나지 않는다면 실질적인 효과가 미미하다고 판단하며 고개를 돌렸다. 


정부는 지난해 4월 국외여비 중 항공료 예산으로 우리나라 항공사의 항공권을 선결제하는 항공권 선구매 지원 사업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국토부를 포함한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 97곳이 참여한 가운데 지난해 해당 지원사업을 통해 순차적으로 선결제된 항공권은 약 315억5,500만원이었으나 실제로는 약 2%에 불과한 6억5,000만원 상당을 소진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교통부는 “코로나19로 국외 활동이 제한됐고 외교부 등 필수불가피한 부문에서만 항공권 발권이 이뤄졌기 때문에 미사용된 항공권이 대다수였다”라고 지난 12일 설명했다. 항공사들은 지난해 12월 중순 경 미소진 금액을 각 부처 및 기관에 환불했다.

 
당초 항공사 및 여행사들은 해당 지원 사업에 대해 마이너스 업무를 우려했다. 선구매 항공권 발권을 위한 인력과 가이드라인 개설, 시스템 정비 등이 필요했는데 코로나19가 장기화될 경우 해외 출장의 가능성이 낮고 미소진 항공권에 대해서는 다시 환불 절차를 밟아야하기 때문이었다. 또 항공사들은 집행되지 않은 선지급액을 환불하는 조건과 관련해 보증보험을 가입해야 했다. 대한항공은 “선구매 항공권 약 200억원 중 실제 발권된 항공권은 2억원 미만이며, 보증보험으로 약 1,000만원을 지출했다”고 전했다. 아시아나항공도 예약·발권·정산 절차에 대해 선구매 항공권 전용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공을 들인 바 있다.

 
결국 배정된 예산은 상당했으나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국외 출장의 어려움으로 취지가 무색한 결과를 낳은 셈이다. 국토부는 “항공사들의 요청이 있다면 올해도 선구매 항공권 지원사업을 펼칠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까지 이렇다 할 요청은 없었다”고 말했다. 한 항공사 관계자도 “좋은 취지로 진행된 지원 사업이지만 투입한 리소스 대비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아 아쉽다”며 “코로나19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해당 지원 사업에 대한 효과는 회의적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한편 저비용항공사(LCC)에서는 선구매 항공권 중 실제 사용한 항공권은 전혀 없이 보증보험료만 지출하고 마무리된 것으로 확인됐다. 

손고은 기자 koeun@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