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지 기자
이은지 기자

“자고 일어나면 부동산 정책이 바뀌는 통에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할지 모르겠어요” 얼마 전 만난 공인중개사의 한탄이다. 수시로 바뀌는 정책에 영향을 받는 건 여행업계도 마찬가지다.

여행업은 코로나19 사태 속 ‘방역의 걸림돌’이라는 낙인을 감수해야만 했다.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사업에서도 그랬다. 지난해 정부는 방역을 이유로 소비할인권 사업을 몇 차례 중단했다. 여행·호텔 부문은 다른 업종에 비해 한 발짝 늦게 재개됐는데 그마저 한 달 만에 중단되는 고초를 겪기도 했다. 지자체들도 여행사 인센티브를 줄이거나 중단해왔다. 최근에는 급격한 확산세로 출발 전날 지자체의 인센티브가 중단돼 울며 겨자먹기로 ‘마이너스 투어’를 한 여행사도 있었다. 

물론 정부와 지자체의 입장도 이해는 간다. 나날이 거리두기 단계가 격상되는 와중에 ‘이 시국에 여행을 왜 지원하냐’며 여론의 뭇매를 맞을 수도 있으니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만 하더라도 국내여행 장려 캠페인 ‘고 투 트래블(Go to travel)’이 확산세와 반대 여론에 부딪혀 중단된 상태다. 일본 현지 언론에 따르면, 고 투 트래블은 지난해 7~12월 총 6개월 동안 숙박만 8,780만박을 기록하는 성과를 냈다. 하지만 해당 기사 댓글란에는 캠페인 때문에 확산세가 심해졌다는 날 선 얘기들도 있었다. 

이런 홀대에도 불구하고 여행업계는 다음을 준비하고 있다. 집단 면역 형성이 여행 재개에 가장 시급한 조건인 만큼 자체적으로 혜택을 마련해 백신 접종을 독려하고 있다. 호텔들은 조식 무료, 특별 패키지 상품 등을 내놓았으며, 항공사는 부가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기도 한다. 상품가를 할인해주는 여행사들도 있다. 이런 노력의 바탕에는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 여론의 눈치를 보지 않고도 자유롭게 여행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깔려있다.

비록 도중에 변경되거나 중단되어도 일관된 방향성만 유지한다면 정책은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여행의 재개와 여행산업의 회복, 그리고 여행인의 복귀에 정부 정책의 방향성이 있다고 믿고 있다. 그렇다면 여행이 멈춘 지금이야말로 여행이 재개될 때를 위해 중단했던 지원 사업들을 다시 살피고 준비할 적기다.

 

이은지 기자 even@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