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결제 불가로 소비 독려 어려워
작년 재난지원금 유입도 1.2%로 최저

 

'국민지원금.kr'에서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1가 지역의 '여행/숙박' 관련 사용처를 검색한 결과 다수의 중소 여행사들이 리스트에 올랐다 / 캡쳐
'국민지원금.kr'에서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1가 지역의 '여행·숙박' 관련 사용처를 검색한 결과 다수의 중소 여행사들이 리스트에 올랐다 / 캡쳐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이 9월6일부터 접수를 시작해 추석 전 지급될 예정이다. 여행업계는 국민의 88%에게 11조원이 지급되는 만큼 이를 적극 유치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대표적인 코로나19 피해 업종임에도 사용처 기준이 다르고 온라인 결제가 불가하다는 점이 맹점으로 꼽힌다.   

여행·숙박 업종은 국민 상생 지원금(5차 재난지원금) 결제 불가 업종에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지원금으로 국내 및 해외여행 상품과 숙박 등을 구매할 수 있다는 해석이지만 소비를 독려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 지원금은 본사 소재지에서 직접 결제해야 하는데, 여행상품의 유통 특성상 결제는 대부분 온라인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또 지원금 사용처는 '국민지원금.kr'에서 지역별·업종별로 확인할 수 있지만 검색 결과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대형 여행사들은 이에 포함되지 않았다. 온라인에 기반을 둔 여행 플랫폼에서도 사용이 불가하다. 지자체별로 각각의 기준에 따라 사용처를 선정한 만큼 대형 여행사들의 대리점 사용 가능 여부도 일일이 확인해야 알 수 있다.

다만 사용처 리스트에 소규모 여행사와 숙소들은 일부 포함됐다. 우선 예약 후 현장에서 카드 단말기로 결제하는 구조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지원금을 여행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크게 낼 수 있는 업체들이 사용처에서 제외된 만큼 지원금을 유치하는 마케팅을 벌이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 대형 여행사 관계자는 "국민 지원금을 지급하는 취지에 따라 코로나19 대표 피해 업종인 여행업종만큼은 온라인 결제라도 가능하게 제한을 완화하면 도움이 되겠지만 지금으로서는 국민 지원금과 관련한 마케팅을 주도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에도 긴급 재난지원금은 여행업계로 크게 유입되지 못했다. 한국개발연구원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에 관한 연구 Ⅱ'에 따르면 카드매출 증감률 기준 지난해 9~15주 사이 매출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업종은 여행(-71.4%)이었고, 헬스(-49%), 사우나·찜질방·목욕탕(-49%), 서점(-40.6%), 학원(-38.8%) 순으로 뒤를 이었다. 하지만 긴급 재난지원금 가능 업종 25개 중 '여행·교통'의 지원금 사용 비중은 고작 1.2%로 가장 적었다. 

 

손고은 기자 koeun@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