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사서오경의 하나인 예기에서 오늘 우리 전통생활 속에 남아 있거나 사라져 가고 있는 것들 중에서, 쉽고 이해가 갈 만한 것들을 열 가지 대목으로 나누어서 엮은 것이다.

「예기」는 원래 유교 철학의 전체를 포괄적으로 체계화하여 엮어놓은 모든 규범의 총칭으로 나라의 제도와 법률을 비롯하여, 의식 범절에 이르며, 일신의 수양에서부터 천하의 경륜에 이르기까지 언급이 안되어 있는 것이 없어서, 큰 줄거리만도 삼백이 되고, 세목이 무려 삼천이 된다하여, 예의 삼백, 위의 삼천이란 말이 있을 정도이다.

그 많은 중에서 몇 가지를 골라낸다는 것은 힘에 겹고 어려운 일이나, 줄기가 될 만한 것을 가려 놓았으니 오늘 우리 생활 속에 깊숙히 배어 있는 예절의 근본을 이해하면서, 내일을 조명하는데 도움될 것으로 본다. 동시에 이 시대에 걸맞는 새 가치관에 따른 새로운 도덕률이 자리잡아 가는 데에도 길잡이가 되리라고 본다.

<편집자 저>

옛날에는 사내아이가 태어나 5, 6세가 되면 천자문을 배우고, 다음에 「동몽선습」이란 책을 배우는 것이었다. 이 동몽선습이란 책은 조선 명종때의 유학자 박세무가 지은 것인데, 「어려서 아직 어두운 아이들이 먼저 배우고 익혀야 할 책」이라는 뜻이다. 이 책 첫머리에서 하늘과 땅 사이 만가지 물건의 무리 가운데에서 오직 사람이 가장 귀한데, 사람이 가장 귀하다고 하는 것은 오륜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오륜은 다름 아닌 사람이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인 것이다. 옛 어른들은 그 시대 삶에 있어서 사람의 사람다운 도리를 크게 다섯 개로 정하였지마는, 그것이 지닌 철학적 뜻은 오직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설정인 것이며, 그것은 예의이며 질서라고 말할 수 있다.

각자의 개성을 존중하고 자유로움을 최상의 가치로 삼는 오늘의 민주사회에서는 더욱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 절서요 예의인 것이다. 이것 없이 민주질서가 잡힐 수 없고, 이것 없이 문화시민이라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하여 예라는 것은 마치 사람의 몸과 같은 것이어서, 몸은 완전하게 갖추어져 있어야 하며, 몸의 어느 한 부분이라도 서하지 못한 곳이 있으며 우리는 이것을 불구자라고 하는 것처럼, 사람이 행동을 하는 데에 갖추지 않은 것이 있으면 이것 또한 예의 불구자라고 하게된다."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