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대란이 일어날 때마다 아웃바운드 업계는 흔들리기 마련이다. 지난달 23일에는 원/달러 환율이 한때 1,200원선에 근접하는 등 환율 급변에 따라 불안감이 증폭됐었다. 이에 따라 각 여행사는 긴장감을 전혀 늦추지 못하며 추이를 주시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당국의 개입으로 9월말부터는 차츰 안정세를 찾아가는 모습이지만 언제 다시 같은 현상이 반복될지 모른다는 것은 업계 관계자들의 목을 조이는 불안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근본적인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어떤 대책이 있고 현실적인 문제 등을 짚어봤다. <편집자 주>



-여행업계, 환율 관련 대책 강구 중
-외환보유나 인바운드 강화 등 거론
-실제 적용 어려워 전략적 접근 필요

■환율 올라도 고객 청구 사실상 어려워

환율 위기 때마나 나오는 여행사의 해법은 사실 없지 않다. 국외여행 표준약관 12조에 따라 외화환율이 계약 시보다 2%이상 변동된 경우 여행요금의 증감을 상대방에게 청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 시행하기에는 많은 잡음이 뒤따른다. ‘여행업자는 여행요금을 증액하였을 때에는 여행출발일 15일전에 여행자에게 통지’해야 한다는 규정 때문에 15일 이전 예약의 경우 피해가 불가피하다. 또한 여행객 설득과정에서 충돌이 생길 수 있고, 타사가 인상하지 않을 경우 가격 경쟁력이 뒤떨어지므로 사실 고민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결제 지연, 랜드사에 고통분담 요구, 현지 호텔 등에 특가 요청 등이 대안으로 선택된다. 외부 충격에 유달리 약한 여행업계인데다 여행사가 흔들리면 하위 구조의 관계사들은 더욱 시달리는 구조적인 문제가 벌어지게 된다. 중국의 A랜드사 관계자는 “여행사가 고정환율을 요구하더라도 현지와 원활한 거래를 계속하려면 손해를 감수하기 마련이다”라며 “예전처럼 환율이 널뛰듯 한다면 결국 하위구조인 랜드사의 피해가 가장 큰 것은 변함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외환보유액 증대도 대비책으로 거론

이러한 폐해를 막고 환율이나 자연 재해 등의 악재가 터지면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 장기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외환보유액 증대 ▲지상비 즉시결제 ▲인바운드 강화 등이 거론되는 모습이다. 먼저 외환보유액을 높이면 환율 폭등 시 어느 정도 대비가 가능한 만큼 매달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씩 확보해 놓는 방법을 강구하자는 주장이 있다. 외부요인에 민감한 여행업 특성상 어느 정도의 자금 안전성이 필요한 만큼 환율이 일정 수준 이하라면 적립식 펀드처럼 매달 확보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매입 시기의 환율보다 현재 환율이 낮으면 지금 환율로 결제하고, 높으면 기존 보유분을 사용하자는 이야기다. 그러나 대부분의 여행사나 랜드사는 거의 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실적으로 환율이 언제 어떻게 변동될지 미리 예측할 수 없고, 그만큼의 자금여력이 없다는 점, 돈이 회전되지 않는 부담 등이 걸림돌이다.

B여행사는 “자금사정이 넉넉지 않은데 매달 외환을 구매하기란 힘들고 그렇게 하더라도 대비할 만큼의 수준을 확보하기란 어려운 노릇”이라며 “게다가 구매환율보다 떨어지면 외화를 그저 들고만 있어야 하는데 그것도 기회비용으로 따지면 사실상 손해이기에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 지역 직불체제 도입 주장도

환율이 오른다고 차일피일 지급액을 미루는 것보다 즉시 결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많다. 환율이 내려갈 때까지 기다리다가 오히려 낭패를 보는 경우가 없지 않았기 때문이다.
동남아의 C랜드사는 “지난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로 환율이 급등하자 여행사들이 지급해야할 금액을 미루고 대신 어음을 발행한 경우가 많았는데 오히려 이전보다 환율이 계속 올라가 낭패를 겪은 바 있다”면서 “때문에 현지 랜드사나 가이드도 자금회전이 되지 않아 각종 트러블에 시달렸었는데 발생 비용은 바로바로 결제해 처리하는 것이 안정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여행사 입장에서는 지급일을 뒤로 미뤄놓으면 그때까지 해당 자금을 굴리면서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도 있기에 직불보다는 일단 묵혀두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일본이나 유럽 등은 직불체제가 대세이기에 빠른 지상비 결제를 하고 있기에 중국이나 동남아 국가는 지급순위도 뒤로 밀리고 자금을 일정 시간 가지고 있기 편한 지역이 됐다. 이러한 관행이 현지 여행사의 자금회전을 경색시키면 결국에는 고객서비스 저하로 이어지는 만큼 전 지역 직불체제 도입 주장은 지금도 현지 랜드사를 중심으로 계속되고 있는 모습이다.

■“인바운드 강화가 가장 필요해”

외환 대출도 방법으로 꼽는 관계자도 있다. 일본 D랜드사 관계자는 “지난 2008년 환율 변동이 감내할 수준을 벗어났기에 1년 상환 조건으로 엔화 대출을 받아 급한 불을 껐었다”며 “본사가 일본에 있었기에 대출이 가능했고 추후 원/엔 환율이 떨어졌을 때 빨리 상환한 바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추후 환율이 떨어진다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한 만큼 불안요소가 크고 자칫 잘못하면 피해가 오히려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아웃바운드의 보완 차원의 인바운드 강화가 가장 현실적이라는 주장도 강하다. IMF시기에도 인바운드 업체들은 아웃바운드 업체와는 반대로 쏟아져 들어오는 여행객들 덕분에 표정관리를 해야할 정도로 호황을 누린 바 있으며, 이후 환율 급등 시기에도 사정은 비슷했다. 따라서 각 사마다 인바운드 강화계획을 가지고 시행 중에 있는 상황이다. 물론 환율이 좋으면 거래처에서 가격인하 요구를 받아 실제로 큰 환차익을 기대하기 어렵지만 아웃바운드 사업의 보완 차원에서 인바운드 사업을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모습이다.

하나투어 홍보팀 정기윤 팀장은 “환율이 급등하면 심리적인 요인에 따라 해외여행 수요가 줄어드는 것은 맞지만 국제시장에서는 우리 상품이 저렴해지므로 매력이 커지기 마련”이라며 “환율이 올라 아웃바운드에서 손해가 발생해도 인바운드에서는 이익을 보게 되면 회사 전체 입장에서 손익이 비슷해지는 만큼 인·아웃바운드 및 국내여행 활성화 등을 통해 어떤 상황이 와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포트폴리오 구성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