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노보를 아는지. 보노보는 침팬지의 사촌격으로 이기적이고 공격적인 침팬지와 달리 공생을 지향한다. 약육강식 사회에 지친 많은 사람들이 보노보처럼 함께 사는 사회를 꿈꾸고 있다. 보노보를 지향하는 삶을 일각에서는 보노보혁명이라 명명했다. 그동안 우리는 사회 주체를 1섹터(정부), 2섹터(기업, 시장), 3섹터(시민단체)로 분류했으나 보노보혁명으로 4섹터가 생겼다. 4섹터는 바로 1·2·3섹터의 교집합이라 할 수 있는 사회적기업이다.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을 직접 고용하거나 취약계층을 위한 서비스를 생산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사회에 기여하면서도 이윤을 포기하지 않는다. 돈을 벌되, 그 돈을 참되게 쓰는 것이다. 그렇다면 여행사도 사회적기업이 될 수 있을까. 사회적기업 여행사의 현황을 들여다 보고, 가능성과 한계를 짚었다. <편집자주>

-아이템과 공정성으로 승부 건 여행사
-사회적기업되면 인건비 등도 지원받아
-실업률 낮추려는 일시적인 지원 한계

■노매드트래블의 아이템 힐링여행

노매드트래블은 서울시로부터 직원 6명의 인건비를 지원받고 있다. 2011년 5월30일 ‘힐링여행’이라는 사업 구상안으로 서울형 사회적기업이 됐기 때문이다. 인건비 지원은 최대 2년(1년째 100%, 2년째 60%)간 받을 수 있으나 인건비와 별도로 사업개발비나 서울시의 홍보 채널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노매드트래블은 사회적기업의 유형 중 혼합형이다. 혼합형은 취약계층을 고용하는 일자리제공형과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제공형을 섞은 형태다. 현재 전체 직원의 15%를 취약계층으로 고용하고 있으며 의무적으로 전체 손님의 15% 가량을 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취약계층으로 맞추고 있다. 해외 자유여행상품을 전문으로 판매했던 이 회사는 힐링여행이 사회적기업 아이템으로 선정된 후, 국내여행상품도 병행해 판매하기 시작했다. 노매드트래블 윤현덕 팀장은 “힐링이 최근 인기를 끌면서 힐링여행도 동반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지금은 기업이나 관공서 등의 단체에서도 문의가 많다”며 “심리치유전문가가 전체 상품에 동행해 참가자의 힐링여행을 돕기에 실질적으로 치유 효과를 얻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나투어·희망제작소 손잡다

하나투어도 2011년 11월 박원순 서울시장이 상임고문으로 있던 희망제작소와 함께 ‘여행사공공’을 설립한 바 있다. ‘공공리더의 공부하는 여행’을 콘셉트로 한 이 여행사는 눈 가리고 아웅식으로 흘러온 공무원 연수에 제동을 건다. 희망제작소는 공무원에게 도움이 되는 해외 각지의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고 하나투어는 항공, 호텔 수배 등을 책임지고 있다. 하나투어 정기윤 팀장은 “전체 여행시장에서 공무원 수요가 차지하는 비중이 큼에도 불구하고 공무원의 시찰이 부정적으로 비춰져 파이가 더 커지지 못했다”며 “여행사공공은 해외 선진 사례를 공부하고 실제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커리큘럼을 선사한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가 인증한 여행사 3곳

통상 우리나라에서 사회적기업이라 함은 고용노동부가 인증한 회사를 지칭한다. 여행사공공은 대기업과 비영리단체가 손잡은 특수 사회적기업이며 노매드트래블처럼 지자체의 지원을 받은 곳은 ‘예비 사회적기업’으로 불린다. 지난달 서울시로부터 연장 평가를 받은 노매드 역시 2년째 서울시로부터 인증을 받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고용노동부로부터 인증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고용노동부로부터 인증을 받은 사회적기업은 680여개. 이 중 사회적기업으로 등록된 여행사는 트래블러스맵, 착한여행, 제주생태관광 3곳이 대표적이다. 이중 트래블러스맵은 2010년 고용노동부가 인증한 사회적기업 여행사 1호로 공정여행사의 대표명사다. 전체 직원 31명 중 17여명의 인건비를 지원받고 있다. 또한 8월부터는 공공기관이 사회적기업의 물품을 우선 구매하는 지원조항이 생겨 트래블러스맵의 여행상품도 판매가 늘어날 전망이다. 트래블러스맵 신승미 실장은 “트래블러스맵은 저가 덤핑 상품을 지양하며 우리가 쓰는 돈이 지역사회 주민에게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라며 “이미 해외에서는 지속가능한 여행 시장이 커져 있고 한국은 이제 시작 단계로 사회를 이롭게 하는 사회적기업과 공정여행은 일맥상통한다”고 말했다.

■서비스업에 맞춘 열린 지원 필요

그러나 정부의 사회적기업 육성 정책은 아쉬운 점이 많다. 복지의 연장선상에서 사회적기업이 발달한 외국과 달리, 한국은 실업문제 해소를 위한 임시방편으로 사회적기업의 지원을 늘려온게 사실이다. 지자체와 고용노동부가 사회적기업에 주는 혜택 중 가장 큰 부분도 바로 인건비다. 인건비를 받기 위해서는 신규로 사람을 고용해야 하며, 지원비를 받는 기간 내에는 애초 등록한 직원 수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지원금을 받기 위해 인원을 충원하다 보니 불필요하게 많은 인원을 안는 상황도 발생할 수도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인증받은 기간 내내 주는 것이 아니라 서울시의 경우 최대 2년, 고용노동부는 최대 3년간 지원금을 주고 있어 영세한 기업은 인건비 지원이 끊기는 즉시 직원을 해고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서울형 사회적기업 관계자는 “서울시는 경영 컨설팅을 지원하고 신상품을 개발하거나 홍보할 수 있는 사업개발비도 마련해 두고 있다”며 “인건비를 무기한 지원할 수 없으니 기업에서는 인건비 지원이 끝난 후에도 자구적으로 회사를 운영할 수 있도록 능력을 길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구나 사회적기업의 직종이 대부분 제조업 분야에 집중돼 있으며 여행업처럼 보이지 않는 ‘무형의 서비스’를 판매하는 기업으로서는 답답할 때가 많다. 한 사회적기업의 관계자는 “실업문제가 심각하자, 정부가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보여주기식 지원을 한 것도 사실”이라며 “서비스로 사회의 문제를 푸는 ‘혁신형’이 제대로 자리를 잡아야 서비스업인 여행사도 사회적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