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프리지아 왕 고르디우스(Gordius)는 프리지아의 수도 고르디움 신전 기둥에 전차를 복잡한 매듭으로 묶어놓고는 “이 매듭을 푸는 사람이 아시아의 지배자가 될 것이다”라는 신탁을 남겼다. 수많은 사람들이 프리지아 함락에 도전했지만 아무도 성공하지 못했다. 페르시아를 시작으로 정복에 박차를 가하고 있던 알렉산더 대왕도 고르디움을 함락 시키고 신전을 찾아가 매듭풀기를 시도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았다. 바짝 약이 오른 알렉산더 대왕은 가지고 있던 칼로 매듭을 끊어버리고는 “나야말로 아시아의 왕”이라고 으스댔다. 어쨌든 알렌산더 대왕은 실제로 아시아를 정복하며 신탁의 괴력을 입증했다. 그 이후 ‘고르디우스의 매듭(Gordian Knot)’은 ‘누구도 해결하지 못하는 어려운 문제’라는 의미를 가지게 됐고, 난마처럼 얽혀 당장은 해법이 없는 난제를 이르는 말로 통했다. 

여행 자유화가 선언된지 올해로 25년이다. 여행업계도 점차 선진화되고 있다 자평하고 있지만, 여기저기 보이는 해결되지 않는 고질병 또한 여전하다. 당장 8월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을 앞둔 상황에서 여행업계가 준비하고 있는 대책을 자세히 뜯어보면 그동안 제시했던 대책의 동어반복이 대부분이다. 2012년 정보통신망법이 시행됐을 때하고 별반 달라진 것이 없다. 타 업계는 연일 개인정보보호법 관련 회의를 하고 대책안을 마련해 발표하는 소식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여행업계는‘금감원에서…대형보험사에서…항공사에서…여행사를 위한 방안을 만들어주지 않는 이상 대안이 없어 보인다’에 머물고 있는 여행업계의 현실이 개탄스럽기까지 하다. 

카드사 정보유출 대란은 우리 업계에 아무런 타산지석(他山之石)도 되지 못한 것일까. 여행업계가 다루는 정보는 카드사가 다루는 정보 못지않은 개인의 고급 정보다. 개정안 시행 후 사고가 터져 5억원 가량의 벌금을 물고 대표자 및 임원들이 책임을 지고 물러난 후에야 외양간을 고치려 한다면 너무 늦다. ‘설마 유출 되겠어’라는 안일한 태도와 여행업계 관행이라고 치부해버리기엔 시대가 바뀌었다. ‘누군가 해결해 주겠지’라고 기다리기에는 여행업의 덩치가 아깝다. 여행업계도 스스로 알렉산더 대왕처럼 적극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이제는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끊어야 한다.
 
신지훈 기자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