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TA, 올해 TASF 활성화 노력 본격화  
-도입 7년째지만 정착까지 여전히 ‘먼 길’

‘항공권 발권 취급수수료(TASF, Travel Agent Service Fee)’ 제도 활성화 노력이 올해 본격화될 전망이다. 
한국여행업협회(KATA) 양무승 회장은 지난 7일 “당초 지난해부터 TASF 활성화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었지만 메르스(MERS) 사태 등으로 여의치 않았다”며 “지난해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TASF 활성화를 위한 환경조성 노력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TASF는 항공사들이 여행사 대상 판매수수료(Commission) 지급을 중단하면서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여행업계가 마련한 대체수익원이다. 항공권 발권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에게 일정 요율 또는 액수를 취급수수료로 부과해 사라진 항공권 판매수수료 수익을 대체한다는 게 골자다. 2010년부터 TASF 시스템이 가동돼 올해로 7년째로 접어들었지만 정착까지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여행사간 판매경쟁으로 인해, 또는 볼륨 인센티브(VI) 기준 충족을 위해 여행사 스스로 TASF 수익을 포기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소비자들의 인식도 낮아 정체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 출국자 수가 사상 최고치에 달했던 지난해도 TASF 부과건수는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고 전체 부과액수는 오히려 하락했다. KATA에 따르면 2015년 TASF 부과건수는 153만1,274건으로 전년대비 2.9% 증가했다. 지난해 출국자 수가 전년대비 20% 정도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전체 부과액수는 870억원으로 오히려 2.3% 하락했다. 건수는 늘었지만 액수는 줄어 1건당 평균 부과액도 5만6,819원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TASF 도입 첫 해였던 2010년의 1건당 평균 부과액(7만6,189원)보다 2만원이나 하락했다. TASF 활성화 노력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KATA는 공공 부문에 초점을 맞췄다. 양무승 회장은 “공공기관에서조차 각종 여행입찰 심사에서 TASF를 낮게 책정한 곳일수록 더 높은 점수를 주고 있어 여행사들의 TASF 수익 포기를 부채질하고 있다”며 “최소한 공공기관에서는 적정 TASF를 보장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적정 TASF가 보장돼야만 양질의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은 물론 궁극적으로는 일자리 유지 및 창출로까지 이어진다는 점을 소구할 계획이다. 

KATA 조사에 따르면 정부 및 지자체 투자 또는 출연 공기관은 전국적으로 480여개에 이른다. 우선 이들을 대상으로 TASF 정착을 위한 환경조성 노력을 펼치고 점차 민간 부문으로도 확대해 TASF 정착을 도모한다는 전략이다. KATA는 조만간 구체적 실행계획을 도출할 예정으로, TASF 하한선 기준을 제시하고 이의 준수를 요청할 가능성이 높다.    

김선주 기자 vagrant@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