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첫 선을 보인 ‘한국 방문의 해(Visit Korea Year)’ 캠페인은 20여년이 흐른 지금, 다양한 형태로 진화 발전했다. 
본래 취지의 캠페인이 지속되고 있는 것은 물론 시행 주체와 목적 등에서 차별화한 새로운 캠페인도 탄생했다. ‘방문의 해’ 캠페인을 살폈다. <편집자주> 
 
 
④1994년 키워드-방문의 해

올해에만 7개 ‘방문의 해’ 사업
 
기초 지자체 이상의 규모만 따져도 2017년 방문의 해 사업 대상지는 무려 7곳에 이른다. 2016년부터 시작된 ‘2016-2018 한국 방문의 해’에 이어 전남 강진군, 울산광역시, 전라북도 3개 지자체가 2017년을 각각 자기 지역 방문의 해로 선포했다. 뿐만 아니다. 정부는 ‘2017년 올해의 관광도시’로 고령군·강릉시·광주남구 3개 도시를 지정하고 관광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올해의 관광도시’는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 동안 진행됐던 ‘지역 방문의 해’의 후속 사업이다. 관광발전 잠재력은 크지만 자체 발전 역량은 부족한 기초 지자체를 선정해 육성하고 지원한다.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전개했던 기존의 ‘지역 방문의 해’와 달리 기초 지자체만을 대상으로 한다.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국 방문의 해’ 캠페인이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강진군·울산시·전라북도·고령군·강릉시·광주남구 6개 지자체가 각자 내외국인 대상의 유치활동을 벌이고 있는 형국이다.
 
각자 선포식 갖고 활동 본격화 
 
각 방문의 해 사업 주체들의 행보도 바쁘다. 2016년 1월 선포식을 신호탄으로 공식 활동에 돌입한 2016-2018 한국 방문의 해 캠페인은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국가적 외래관광객 유치 촉진 및 관광수용 태세 개선 사업이다. 민간 기업과 주요 기관으로 구성된 (재)한국방문위원회가 시행 주체이며 위원장은 금호아시아나그룹 박삼구 회장이 맡고 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외래 관광객 2,000만명 유치 목표를 달성하고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지원한다는 게 주된 목적이다. ‘세계인이 다시 찾는 코리아’를 비전으로, 외래객 2,000만명 유치 및 양적 성장에 부합하는 질적 발전 기반 확립을 목표로 K-스마일 캠페인, 해외 시장 대상 마케팅, 국내 수용태세 개선 사업 등 다채로운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올해 동시에 방문의 해를 전개하는 3개 지자체도 활동을 본격화했다. 강진군의 경우 지난해 5월 일찌감치 ‘2017 강진 방문의 해’를 선포하고 국내외 관광객 유치활동에 돌입했다. 2017년은 강진이라는 지명이 탄생한 지 600주년이 되고, 다산 정약용 선생이 강진 유배 시절 경세유표를 저술한 지 200주년이 되는 등 여러 가지로 의미가 깊다는 점을 반영했다. 국내 여행객 유치 확대를 위해 여행사 대상 모객 인센티브 제도를 확대 운영하는 등 기초 지자체로서는 상당히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최근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심의·선정하는 ‘2019년 올해의 관광도시’로도 뽑혀 3년 동안 정부의 지원을 받게 됐다. 울산광역시는 지난 14일 서울플라자호텔에서 여행업계 관계자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7 울산 방문의 해’ 선포식을 개최했다. 광역시 승격 20주년을 기념해 방문의 해 행사 추진을 결정했으며, 산업·생태·산악·해양·역사문화라는 울산의 5대 관광자원을 국내외에 적극 홍보하고 관광객 발길을 이끌 계획이다. 2016년 260만명(잠정치)이었던 울산 방문 국내외 관광객 수를 2017년에는 400만명으로 확대한다는 목표이며, 단체관광객 유치를 위해 주요 국내전문여행사와 인바운드 여행사를 ‘울산 대표여행사’로 지정하고 협업 체제를 구축했다. 전라북도도 오는 28일 오후 2시부터 서울포시즌호텔에서 ‘2017 전북 방문의 해’ 선포식을 개최하고 활동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날 전라북도는 전북 전담여행사를 지정하는 한편 여행사를 대상으로 여행상담회도 개최한다.

‘2017년 올해의 관광도시’ 3곳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고령군·강릉시·광주남구 3곳은 지난 1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7 내 나라 여행박람회’에서 선포식을 열고 2015~2016년 2년 동안의 준비를 마치고 올해 관광객 유치에 본격 나선다고 알렸다.
 
 
사전 조율 통해 체계적 진행 필요
 
다양한 지역과 주체가 방문의 해 사업을 전개한다는 것은 그만큼 이 사업의 효용성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많다는 방증으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비슷한 콘셉트와 같은 목적을 지닌 행사가 여러 곳에서 동시에 전개된다는 측면에서는 비효율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여행목적지로서 한국을 소구하는 한국 방문의 해 캠페인이야 그렇다 쳐도, 지자체 차원에서 전개되는 사업은 너무 많을 경우 자칫 불필요한 경쟁이 벌어지고 효과도 분산돼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다. 한 관계자는 “과거 지역 방문의 해를 전개했을 때는 매년 정부가 해당 지자체를 선정하고 진행했기 때문에 집중도가 높았다”며 “지자체 차원에서 할 경우라도 사전 조사와 조율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진행하는 게 효율적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 방문의 해’ 사업은…
 
한국 방문의 해(Visit Korea Year) 사업은 현재까지 네 차례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첫 시작은 1994년이었다. 관광수용 태세 정비와 인프라 확충을 통해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촉진하고 관광산업 경쟁력을 강화하자는 취지였다.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관광산업의 가치에 정부가 눈을 뜨면서 이뤄진 조치이기도 하다. 안팎의 높은 관심 속에 시행됐지만 첫 시행에 따른 시행착오와 부실진행은 피할 수 없었다. 요란만 떨고 실질적인 효과는 거두지 못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두 번째 한국 방문의 해는 2002년 월드컵축구대회와 부산아시안게임에 맞춰 진행됐다. ‘94 한국방문의 해’와 달리 2001년과 2002년 2년으로 시행 기간을 늘렸다. 세 번째 ‘2010-2012 한국 방문의 해’ 사업은 민간 주도의 캠페인으로 형태를 바꿨다. 민간 기업 등으로 구성된 ‘한국 방문의 해 위원회’가 주도하고 정부와 기관이 지원하는 형식이었다. 목표로 내세웠던 외래관광객 1,000만명 유치를 달성하면서 비로소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2016-2018 한국 방문의 해’는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설정됐으며, (재)한국방문위원회를 통해 전개되고 있다.
 
김선주 기자 vagrant@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