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률 30%까지 추락…서울보증보험에 밀려
-해결 대책 없어 위기감, 협회 역할 강화해야

여행사가 ‘여행공제회’를 통해 여행업 영업보증보험에 가입하는 비율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져 비상이 걸렸다. 타 민간 보험회사로 이탈되는 수요를 다시 끌어들이기 위한 방안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여행공제회 가입 업무를 맡고 있는 각 협회의 역할과 필요성을 강화하는 데서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현 관광진흥법상 모든 여행사는 의무적으로 여행업 영업보증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소비자 피해를 구제하기 위한 목적이다. 한국관광협회중앙회 산하의 여행공제회 또는 서울보증보험과 같은 민간 회사를 통해 가입할 수 있다. 

여행공제회는 업계 차원에서 설립됐고, 보험요율도 서울보증보험에 비해 낮았기 때문에 과거에는 여행사 대부분 여행공제회를 이용했다. 하지만 서울보증보험과의 경쟁이 심해지면서 보험요율에서 경쟁력을 잃기 시작했고, 해당 협회에 회비(분담금)를 납부해야 한다는 점도 결정적인 걸림돌로 작용하기 시작했다. 2011년 47.2%에 달했던 여행사 가입률은 매년 하락을 거듭해 급기야 2016년에는 30.0% 수준으로까지 떨어졌다. 여행사 10곳 중 3곳만이 여행공제회를 이용하고 나머지는 서울보증보험을 이용하거나 아예 가입하지 않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서울보증보험의 공세도 거세졌다. 서울보증보험의 보험요율(0.329%)은 여행공제회(0.32%~0.91%)와 별 차이가 없지만 별도로 협회비를 납부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는 경쟁력이다. 최근에는 ‘관광협회 미가입, 관광협회비 미납 여부에 관계없이 가입 가능’하다는 내용을 서울 소재 여행사들에게 팩스로 발송해 서울시관광협회가 발끈했다. 그야말로 ‘영업 도의상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었다’는 이유에서였다. 결국 서울보증보험 측이 공식 사과하면서 일단락됐지만, 잔불은 남았다. 서울시협 관계자는 “서울보증보험에 가입하더라도 피보험자는 소속 협회로 하도록 규정돼 있기 때문에 사고가 나면 그 뒤처리는 협회가 도맡아하는 불합리한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며 “이런 점은 감안하지 않고 협회비 운운하며 영업해 공식 항의한 것”이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여행공제회 운영위원회의 위기감도 크다. 20%대로 추락할 수도 있어서다. 지난 22일 열린 회의에서 영업보증보험 가입 업무에 대한 대가로 각 협회에 지급하는 성과금을 줄이는 대신 보험요율을 더욱 낮춰 여행사 혜택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실질적인 효과가 없다는 이유로 무산됐다. 협회는 협회대로 성과금이 줄어 불만이고, 여행사는 여행사대로 보험료 인하 효과를 체감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결국 각 협회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하는 데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보험료와 함께 협회비를 납부해도 전혀 아깝지 않을 정도로 협회가 회원 여행사를 위한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한다면 지금처럼 무더기로 ‘이탈’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 여행공제회 운영위원은 “여행공제회 가입률 하락은 단순히 보험요율이나 협회비 납부 등의 지엽적인 이유가 아니라 협회의 활동과 역할 등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비롯됐다”며 “각 협회와 여행사 모두가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여행공제회는 홀세일 여행사나 항공사 대리점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지급보증보험 상품의 경우, 부동산 소유주 연대보증 규정을 없애 가입 문턱을 낮추기로 의결했다.
 
김선주 기자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