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업계에는 한국관광협회중앙회를 필두로 산하에 지역별관광협회와 업종별관광협회가 구성돼 있다. 지역별관광협회는 17개 시·도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업종별협회는 여행업·MICE 등 업종별로 구성된다. 원칙대로면 관협중앙회를 정점으로 이들 각 회원 협회들이 유기적으로 활동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수직적으로도 수평적으로도 연대가 약하고 사이가 별로다. 업종별협회인 호텔업협회가 관협중앙회에서 탈퇴한 지 오래 전이고, 지역별협회와 한국여행업협회(KATA)는 사사건건 부딪히기 일쑤다. 

이번에도 티격태격할 조짐이다. 얼마 전 쓴 기사가 발단이 됐다. 관협중앙회 산하 여행공제회를 통해 여행사들이 여행업 보증보험에 가입하는 비율이 30%에 불과해, 민간 보증보험회사로 이탈하는 여행사 수요를 관광업계 내부로 이끌고 관리도 체계화할 필요가 높다는 내용이었다. KATA는 그런 맥락에서 여행공제회 가입처를 KATA로 일원화하되, 여행공제회 가입 및 사고처리 등의 업무를 대행한 대가로 각 지역별협회가 받았던 대행수수료 수익은 기존처럼 각 지역별협회가 받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여행업을 대표하는 협회로서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도 체계화하겠다는 취지에서였다.

지역별협회는 발끈했다. 결국 지역별협회의 여행사 회원사를 빼앗겠다는 의도라고 풀이했다. 모 지역 관광협회 임원은 “원론적 차원에서 아무리 합당한 얘기라도 해도 지역별협회와 사전에 아무런 협의도 없이 KATA 마음대로 가입처 일원화 추진을 운운하는 것은 지역별협회를 무시하는 처사이자 순수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다분히 감정적이었지만 이해할 만도 했다. 지난 23일 군산에서 열린 지역별관광협회 사무국장 회의에서도 이 문제를 다루겠다고 했는데, 부정적인 결과를 도출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런 분위기라면 해법과 대책이 아무리 좋아도 제대로 논의할 수 없다. 각 협회가 왜 이렇게 멀어졌는지 곰곰이 생각해보면 이건 단순한 밥그릇 싸움이 아니다. 바닥에 깔린 불신이 문제다. 상호 신뢰부터 챙겨야 한다. 협회 간 불신의 피해는 고스란히 회원사가 떠안으니 말이다.
 
김선주 기자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