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균 기자
이성균 기자

올해 2월부터 10월까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수많은 지원 정책이 발표됐다. 재난지원금, 통신비 2만원 지원, 8대 소비쿠폰 등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다. 그렇지만 정책이 발표될 때마다 ‘상대적 박탈감’과 ‘형평성 문제’가 꼬리표처럼 따라붙었다. 물론 개별 정책이 모든 이를 만족시킬 수 없겠지만, 여행업의 박탈감은 특히 클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여행업을 의도적으로 뒷전에 두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까지 들었다.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때부터다. 여행업의 경우 집합금지 및 영업제한 업종처럼 법적으로 영업을 제한하지는 않았지만, 지속적인 국내여행 자제 언급과 해외 입국자 의무 자가격리 조치 유지 등으로 여행봉쇄령을 내린 것과 다름없었다. 또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됐다지만 영세업체는 혜택을 거의 받을 수 없었다. 여기서나마 영업제한 업종과 지원 수준을 맞췄으면 싶었다. 여행업계는 서운함을 속으로 삼켰다. 


업계의 참을성은 소비쿠폰 재개 시점에 맞춰 한계에 다다랐다. 3밀(밀접·밀폐·밀집)을 피하라면서 영화와 공연 분야를 포함하고, 여행·숙박은 보류했기 때문이다. 처음으로 한국관광협회중앙회와 한국여행업협회(KATA)가 10월20일 강력한 어조로 정부에 항의 성명서를 보냈다. 그렇지만 되돌아온 건 문화체육관광부의 으름장이었다. 방역 상황에 맞춰 사업 재개 시기를 조정하겠다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구태여 ‘사업 취소’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쯤 되니 여행업의 아픔을 공감하지 못하는 수준을 넘어 여행을 산업으로 인식하는 건 맞는지 의문이 들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마치 ‘이 시국에 여행 안 가면 되는 거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이어 “여행을 국민의 여가 행위로만 바라볼 수도 있겠지만 업계 종사자에겐 생업”이라며 “어차피 여행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으니 민관이 모여 여행사를 활용한 안전 여행법을 기획하는 등의 시도가 있으면 한다”고 밝혔다. 


여행사뿐만 아니라 호텔, 항공사 모두 온갖 수단을 동원해 방역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실제 감염 사례도 거의 없다. 따라서 정부도 여행을 막연히 제한하는 게 아니라 그들의 영업을 지원해줄 최선의 카드를 찾는 데 힘써줬으면 한다.
 

이성균 기자 sage@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