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균 기자
이성균 기자

1월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후 300일이 지났다. 긴 시간 동안 휴폐업, 항공사 매각 결렬, 구조조정 등 부정적인 단어가 관광업계 뉴스 대부분을 채웠다. 이 와중에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OZ) 인수가 결정됐다. 관련 기사가 1,500건 이상 쏟아질 만큼 파급력은 상당했다. 세계 7위 메가 캐리어 탄생 전망부터 재벌 특혜 우려까지 다양한 시선이 나왔다.


무엇보다 놀란 건 KDB산업은행과 한진칼 간의 업무 진행 속도다. 지난 9월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무산된 지 2달 만에 모든 게 이뤄졌기 때문이다.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ZE)의 매각 협상이 지난 7월 결렬됐고, 9월 이스타항공 직원 600여명이 구조조정이라는 낭떠러지에 몰렸음에도 여전히 답보 상태인 것과 극명히 대비된다. 정부는 이스타항공 사태에 대해 11월 지금까지 어떠한 움직임도 없는 반면 아시아나항공의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는 확약을 한진으로부터 받았다. 아시아나항공이 계열사를 합해 1만1,0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만큼 정부의 선택을 ‘대마불사’ 논리로 해석하는 시각도 많다.


정부의 이런 선택을 보면서 여행사의 미래도 순탄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스타항공보다 직원 수가 많은 여행사는 하나투어(2020년 6월 기준 2,406명)뿐, 모두투어도 1,100명에 그친다. 여행사의 95%가 20인 미만의 소형 업체다. 개별적으로 무언가를 지원할 정도의 규모가 아닌 셈이다. 여행업계가 요구하는 고용유지지원금 이상의 직접 지원이 현실적으로 가능할지도 의문이 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렇다고 규모의 함정에만 빠져 체념할 일은 아니다. 생존을 위해 필요한 부분은 계속 요구하고 목소리를 내야 한다. 여행사 개별로 보면 분명 작지만, 여행업 전체로 보면 10만명(관광사업체조사 2018년 기준)에 육박하는 종사자를 거느린 거대 산업이니 말이다. 호텔업 등 관광진흥법상 모든 관광사업체로 넓히면 무려 27만명 규모다. 관광산업 종사자의 가족들까지 감안하면, 이렇게 속수무책으로 무너져 내리는 상황을 바라만 보고 있어서는 안된다. 여행업을 포함한 전체 관광산업의 고용 규모를 재인식하고 그에 합당한 정책적 지원 전략을 수립해야한다.  정부가 지난 19일 추진하기로 결정한 면세점 쇼핑이 가능한 무착륙 국제관광비행을 출발점으로 삼아 트래블 버블 등 여행업계에의 현실적 요구에 더 귀 기울였으면 한다. 

 

이성균 기자 sage@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