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과 집중 필요, 요구사항 홍수로 혼란
집합금지 지정? 집합금지에 준하게 지원?

여행업계 내 여러 주체가 적극적으로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사진은 부산시관광협회가 9일 부산시청 앞에서 전개한 시위. 관광사업자등록증 장례식을 치르는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부산시관광협회
여행업계 내 여러 주체가 적극적으로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사진은 부산시관광협회가 9일 부산시청 앞에서 전개한 시위. 관광사업자등록증 장례식을 치르는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부산시관광협회

여러 주체가 전국 각지에서 산발적으로 여행업 지원을 호소하면서 자칫 메시지가 분산되고 힘을 잃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대와 결집을 통해 여행업 전체 차원의 통일성을 갖추지 못하면 동력도 약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우리여행협동조합 소속 중소 여행사 등이 1월25일 국회 앞에서 전개한 시위를 신호탄으로 여행업 생존 지원을 호소하는 활동이 본격화됐다. 한국여행업협회(KATA)와 서울시관광협회(STA), 그리고 중소 단체들은 ‘여행업 생존 비상대책위’를 구성하고 청와대와 국회, 집권여당 당사 앞으로 장소를 확대했다. 광주와 부산 소재 여행사들도 비대위를 구성해 시위를 전개했다. 부산시관광협회(BTA)의 경우 협회 차원에서 최초로 9일 부산시청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앞으로 여야 부산시당, 청와대 앞에서도 집회를 열 계획이다. 다른 지역 관광협회들도 비슷한 방식의 시위를 검토하고 있다. 11일 현재, 중소업체 권익증진을 목표로 결성된 전국여행업비상대책협의회도 12일 국회 앞 피켓시위를 위해 전국 중소여행사에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간담회와 건의문을 통한 활동도 활발하다. 중소여행사 대표 4명은 KATA 관계자와 함께 지난 4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정책국장을 만나 여행업 생존 지원대책을 두고 의견을 나눴다. 한국관광협회중앙회(KTA)는 지난 10일 관광업계에 대한 특단의 지원대책을 촉구하는 공식 건의문을 국회 여·야 정책위의장에게 전달했다. 2021년도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의결하는 3월 임시국회에 맞춰 건의 활동도 활발해졌다.

여행사·협회·단체가 적극적으로 생존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긍정적이다. 하지만 추진 주체에 따라 요구사항의 내용과 양도 조금씩 달라 혼란스럽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여행업 생존지원 호소라는 총론에서는 같지만 세부 각론에 들어가서는 미묘한 차이가 있어서다. 차이를 부르는 변수는 다양하다. 지방과 수도권, 대형사와 중소업체, 업종별협회와 지역별협회 간 입장이 다르다. 

한 협회 관계자는 “여러 주체가 각자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개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선택과 집중 그리고 적절한 여과 및 압축 과정을 거쳐서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높다”며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은 채 너무 많은 요구와 건의를 무분별하게 쏟아내면 이를 받아들이는 입장에서도 혼란스럽고 자칫 사소한 요구에만 귀를 기울이는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메시지 홍수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서로 충돌하는 경우다. ‘여행업에 대한 지원을 집합금지업종에 준하는 수준으로 해달라’는 요구와 ‘여행업을 집합금지업종으로 지정해 지원해달라’는 요구가 대표적인 사례다. 재난지원금 지원과 ‘손실보상제’에 따른 영업손실 보상 시 집합금지업종이냐 여부가 중요한 잣대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아예 여행업을 집합금지업종으로 지정해달라고 건의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행업이 집합금지업종으로 지정될 경우 여행객 모객과 행사 진행 자체가 금지되는, 그야말로 영업이 금지되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한다는 지적이 높다. 때문에 KATA와 STA가 주축이 된 ‘여행업 생존 비대위’와 KTA 등은 ‘집합금지업종에 준하는(상응하는) 수준으로 상향 지원’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여행업계 각 주체들이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고사 위기에 처한 여행업 현실을 알린 만큼 향후 전개 과정에서는 각 주체간 결집과 연대를 통해 공통의 목소리를 도출하고 여기에 역량을 집중하는 게 성공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김선주 기자 vagrant@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