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탄. 돌아간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지 못한 한탄 / 옛적부터 사회에 행하여 온 의식주 등의 습관을 풍속이라 한다.

▲風俗: 風은 보통 바람풍으로 읽지만 여기에서는 풍속풍으로 읽고, 俗은 풍습속으로 읽으며, 풍속과 습관 또 속된 풍습의 뜻들이 있다. 옛적부터 사회에 행하여 온 의식주등의 습관을 풍속이라고 한다. 그러나 풍을 노래풍으로 읽으면 국풍이라 하여 옛날 중국에서 제후(왕)들이 백성의 습속 중에서 좋고 안좋은 것, 정치의 잘잘못을 보기 위하여 각지방의 노래를 모아서 천자에게 올린 노래인데, 시경의 국풍에 모아져 있다.

나라의 노래라는 뜻이다. 풍은 또 풍물이라고 하여 농악에 쓰이는 꽹과리, 날라리, 북, 작은 북, 장구, 징같은 것을 두고 말하기도 한다. 풍물은 또 풍치, 풍광의 뜻도 있다. 이 때는 경치풍으로 읽는다.

풍수지탄이란 말이 있다. 이미 돌아간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지 못한 한탄을 뜻한다. 원래의 말은 수욕정이 풍부지요 자욕양이 친부대라고 한 말에서 줄인 말이다. 나무가 고요히 서 있고자하나 바람이 멈추어 주지 아니하고, 자식이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는 기다려 주지 아니한다라는 뜻이다.

▲匹夫: 한 사람의 남자 또는 신분이 낮은 남자의 뜻이고 필부라고 부를 쓰면 한 사람의 여자 신분이 낮은 남자의 아내라는 뜻이다. 필자를 필필로 읽으면 옷감 길이의 단위로 비단 한 필과 말 같은 가축을 세는 단위로 말한 필 두 필등으로 쓰이고 짝필로 읽을때는 배필로 쓰고 적수의 뜻으로는 필적이라고 할 때에 쓴다.

필부의 필은 홑필로 읽고 홑은 하나의 뜻이므로 일부일처의 뜻도 된다. 옛날에는 사대부 이상의 신분에서는 다처제이고 서인은 외처를 거느리지 못하게 되어 있어서 필부라고 하면 자연히 일부일처를 거느리는 하류계급인 서인이라는 뜻이 된다. 오늘에는 자기를 낮추는 말로 필부라고 하기도 한다.

▲河川:내와 강을 말한다. 하는 물이름하로 중국의 황하를 가리키며 강하면 양자강을 말하여 강하라고 하여 물의 대명사로 두 강을 합쳐 부른다. 넑고 큰 내를 하라고 하며, 운하하로 읽으면 운하를, 은하하로 읽으면 은하수로 쓰며 모두 크고 넓은 내의 뜻이 담겨 있다. 강은 보통은 길고 큰 내를 말한다.

천은 내천으로 보통의 내이고, 시내보다는 크고 강보다는 작은 것을 말하며, 시내는 산골짜기나 평지에 흐르는 시내계의 자로 쓰며 산속 바위 틈새에 흐르는 산속물은 산속물간의 윤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하는 쓰지 아니하고 강으로만 쓰고 있다. <김동연 KATA상근부회장>"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