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지난달에는 몇 팀이나 받았어요?""
""거의 못했어요.""
""그래요? 그럼 돈 벌었네.""

꼭 무슨 코미디의 한 대목 같지만 얼마 전 만난 모 랜드사의 뉴질랜드 현지 소장이 들려 준 실제 상황이다. 형편없는 지상비로 행사를 치르다 보니 팀을 받을수록 손해를 보는 현실을 빗댄 것이다. 본지에서 얼마 전부터 시리즈로 내보내고 있는 '지상비 현실화' 기사 취재를 위해 여러 랜드사의 소장들을 만나면서 새삼 부실한 지상비가 끼치는 해악이 얼마나 심각한지에 대해 절감하게 됐다.

그리고 이제 지상비 하락이 어느 특정 지역 할 것 없이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에 착찹함을 금할 수 없었다. 재삼 거론하기조차 민망하고 또 양비론적인 입장 같지만 부실한 지상비의 책임으로부터 항공사, 여행사, 랜드사 모두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은 자명해 보인다. 당장 눈앞의 이익에 급급해 상식 이하의 지상비를 내놓는 랜드사도, 모든 손실은 랜드사가 떠안기를 강요하는 여행사도, 비수기 좌석 소진을 위해 사실상 덤핑을 '사주하는' 항공사도 끝없는 지상비 추락의 공범인 셈이다.

굳이 잘잘못을 따지자면 업계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영향력을 감안할 때 항공사에 더 큰 책임이 있다는 게 기자의 판단이다. 비수기 실적으로 성수기 좌석배분을 한다는 미명 하에 여행사로 하여금 무리한 상품 판매를 강권, 결국 저가의 상품을 남발하게 되고 랜드사는 또 그 가이드라인에 맞추려 원가에도 훨씬 못 미치는 지상비를 강요받는 형국이다.

이러한 항공사의 관행은 10년전이나 지금이나 똑같고 실제 좌석배분도 명확히 실적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다는 것 또한 공공연한 비밀이다. 결국 문제는 이렇게 야기되는 지상비 부실에 따른 파장이 제대로 행사를 치르고 싶고 새로운 상품을 개발해 보려는 많은 사람들의 의지를 꺾어, 업계 발전을 가로막는 데 있다. 권한 만큼 책임과 의무가 따른다고 했던가? 업계 정화를 위해 항공사의 맹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노중훈 기자 win@traveltimes.co.kr
"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