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겨울 성수기는 대양주 지역의 상당한 부침이 있었던 한 해로 기록됐다. 여행시장의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였던 전쟁 우려와 경기 침체 등의 외부적 요인이 아닌 이 지역 여행업의 구조적 문제가 더 컸던 것.

뉴질랜드 지상비 인상안을 내세운 현지 여행사의 실력 행사로 대양주 지역 담당자들은 한바탕 몸살을 앓았다. A여행사 관계자는 “최성수기의 대양주 부진 현상은 우리 회사 뿐만이 아닌 것으로 안다”며 “행사 거부등 현지의 실력행사에 대처하느라 전전긍긍하는 통에 모객에 전력을 쏟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질랜드 인바운드 여행사의 지상비 정상화 요구가 수면 위로 떠오른 점은 그간 제쳐 놨던 수익구조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는 전기를 마련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여행업계에서는 일부 패키지사를 시작으로 지상비 인상과 변동 환율제를 받아들이는 업체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 외항사의 주관 랜드를 맡고 있는 A랜드 관계자는 “거래처인 연합사들이 최근 현실적으로 조정된 남·북섬 지상비 인상 요구안에 대체적으로 수긍하고 있다”며 분위기를 전했다. 또한 얼마 전 여행사 대양주 팀장 모임에서 지상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자는 움직임이 전해지는 등 이 지역 지상비에 대한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후문이다.

재뉴협의 현재 진행 상황

이번 사안은 성수기를 마친 현재도 진행 중이다. 관계자들은 무엇보다도 3월 이후 비수기에도 현지의 요구안이 제대로 지켜질 수 있을까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재뉴 한인인바운드 여행업협의회(이하 재뉴협)는 1일에 2차 행사 거부 여행사를 추가로 발표하기로 한 계획을 4일 이후로 연기한 상태. 2월28일 현재 재뉴협 측에서는 “종전에 행사 거부 여행사보다 훨씬 많은 숫자의 여행사들이 현재 심의에 올라 있으며, 종전에 거론된 여행사들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하지만 실질적인 행사 거부 여행사 선정에는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재뉴협 관계자는 2차 경고한 업체에 더해 현재 적발된 업체 숫자가 증가한 상태라고 밝혔다. 재뉴협은 자신들이 요구한 남·북섬 지상비 인상안과 변동환율제를 적용치 않은 다수의 업체를 적발했으나 회원사의 행사 거부 여행사에 포함시킬 것인지에 대한 논의에는 약간의 시일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최종 행사 거부 업체에 등재되는 업체는 다소 줄어들 것임을 시사했다.

과제 및 선결사항

상당수 관계자들은 이번 사안의 성패는 회원사의 결속에 달린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3월 이후 비수기 단체가 줄면서 지상비를 둘러싼 여행사의 회유와 동종 업체간의 지상비 경쟁이 심해질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현지의 한 관계자는 “요구안을 지키지 않는 업체들을 적발하고 제재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고 털어 놓는다.

재뉴협의 행사 거부 여행사 명단은 회원사를 대상으로 한 협의안이므로 회원사가 아닌 다른 인바운드 여행사에 대한 강제력이나 구속력은 없다. 이 때문에 결의안에 대한 회원사들의 준수 여부 즉, 결속의 문제는 매번 시장 정상화의 큰 걸림돌로 지적받고 있다. 실제로 B랜드의 경우 현재 경고 조치에 들어간 업체의 행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요구한 지상비를 유지시키는 것 또한 회원사의 자정 의지에 의존해야 하는 것이다.

이번 사안이 진행되면서 일부 서울 사무소 관계자는 이번 사안이 현지에서 한국의 여행사에 직접 전해진 것에 대한 불편한 심경을 공공연하게 드러냈었다. 이는 서울 사무소와 현지 인바운드 여행사가 직영 체제가 아닌 대행 관계로 변하면서 서울 사무소가 현지의 수익 구조에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게 됐기 때문. 재뉴협이 발송한 몇 차례의 호소문과 요구안이 서울 사무소를 거치지 않고 여행사 대양주 팀장에서 직접 건내졌던 것도 서울 사무소가 대화 채널이 될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게다가 3월부터 시작되는 비수기에는 재뉴협의 요구안이 자칫 유야무야 될 수 있다. 그래서 올해는 다른 때보다도 행사 거부안에 대한 현지의 결속안, 비수기 시 여행사의 회유로 자행되는 덤핑 요구에 대한 경계의 눈초리가 짙어질 전망이다.

한 관계자는 “매해 비수기가 시작되면 여행사의 경쟁적인 특가 정책으로 저가 상품이 만들어지는 데 이 또한 이번 뉴질랜드 지상비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현지에서도) 여행사 관계자를 상품을 개발, 판매하려는 소비자로 파악해야 된다”며 “비근한 예로 시드니, 골드코스트에서도 지상비 인상 요구가 몇 년 간 한번 꼴로 주기적으로 일어난 적 있는데 이 일이 기화가 돼 이 지역에 대한 여행사의 판매 의욕을 꺾었던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충고했다.

임송희 기자 saesongi@traveltimes.co.kr

"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