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지자체 개별 집행, 소외된 여행인도
매출 제로 상황서 큰 도움, 예산 증액 요구

관광지 방역 사업 예산을 대폭 증액하고, 여행업계 종사자를 집중 선발해 생계를 지원해달라는 호소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는 17개 시도 지자체와 함께 '관광지 방역·수용태세 개선 지원' 사업을 진행했다. 관광지 방역을 통해 안전한 여행 환경을 만들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광업계 종사자의 고용안정에 기여하기 위해서다. 2차 추경예산 252억원을 투입해 총 3,000명의 방역인력을 모집한다는 게 주된 내용이었다. 지난해 8~9월 각 지자체별로 참여자를 모집하고 사업을 진행했다. 각 시군구의 모집공고를 살펴본 결과, 1~2순위는 관광업계 실직자 또는 휴직자, 관광분야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등이었고, 3순위는 취업취약계층(장애인, 저소득층, 장기실직자 등)이었다. 급여는 시군구별로 상이하지만 월 160~200만원선이었다. 

하지만 정작 여행인은 소외된 사례가 많았다. 한국여행업협회(KATA) 관계자는 "지자체 중에 취업취약계층 위주로 집행한 곳들도 많았고, 특정 지자체에 일자리가 몰리는 등 여행업계 종사자를 위한 사업이었음에도 아쉬움이 많았다"라며 "올해는 여행인들을 위한 별도의 관광방역 일자리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고 전했다. 관광지를 방역하는 사업이니 만큼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이들에게 보다 집중하는 '핀셋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관광 방역 사업에 참여한 여행업계 종사자들에게는 큰 보탬이 됐다. 한 지방 소재 여행사 대표는 "지난해 관광 방역 개선 사업에 약 4개월간 참여해 매달 160만원의 급여를 받았는데, 매출이 아예 없는 상황에서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관광 방역 사업은 지난 1월 여행인 총궐기대회에서 여행업계가 내세운 4대 요구안 중 하나였다. '관광 방역단을 구성해 관광 수용태세를 대대적으로 정비하도록 예산을 대폭 증액하라'는 요구였다.

현재 여행인들은 오미크론 여파로 다시 휴직에 돌입하고 있다. 3월이면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기간이 만료되는 데다, 차례로 고용유지지원 종료를 앞두고 있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여행업 일자리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높다.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