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화로 가는 길…‘수요‧공급‧가격’ 삼박자 필요
항공사는 연결성, 여행사는 서비스…기본에 충실
일본 개방 즉시 수요 폭발, 중국 개방에는 과연?

올해 여행시장은 코로나19가 남긴 상흔을 지우고 회복에 속도를 낸다. 물론 각종 경제 지표가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하지만 비로소 가능해진 자유로운 교류 속 조심스레 흑자 전환을 점치는 모습이다. <여행신문>이 새해를 대하는 여행업계의 전망과 전략을 살핀 결과, 2023년 여행시장에는 구름이 걷히고 차차 맑아질 전망이다.

올해 여행시장은 회복에 속도를 낸다. 각종 불안정한 경제 지표에도 비로소 가능해진 자유로운 교류 속 희망을 키운다. 올해 여행시장 기상은 흐린 뒤 맑겠다 / 픽사베이 
올해 여행시장은 회복에 속도를 낸다. 각종 불안정한 경제 지표에도 비로소 가능해진 자유로운 교류 속 희망을 키운다. 올해 여행시장 기상은 흐린 뒤 맑겠다 / 픽사베이 

리셋 후 새출발…묘수는 정공법?

새해에도 고환율‧고물가‧고유가라는 삼중고에 경기 침체와 전쟁 등 새로운 악조건이 겹겹이 날을 세우고 있다. 모든 게 불확실한 상황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행업계는 코로나19와 관련된 규제에서 대부분 벗어난 상태에서 한해를 시작한다는 점에서 희망을 키운다.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기엔 변수가 많다지만 회복세는 결국 우상향 그래프를 나타낼 것이라는 데 대부분 동의한다.

올해 여행산업의 회복은 수요와 공급의 궤도에 달려 있다. 지난해에는 세계 각국이 하나둘 출입국 제한을 완화하면서 항공 수요는 빠르게 증가했지만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가격이 크게 상승했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잠재 수요를 충분히 이끌어내지는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안정적인 공급과 충분한 수요, 이로 인해 형성된 적정 수준의 가격이 삼박자를 이뤄야 정상화에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이야기다.

올해 여행업계의 묘수는 정공법이다. 항공사들은 국제선 네트워크 확대에 가장 무게를 두는 한편 여행사들은 양질의 상품에 힘을 쏟을 전망이다. 항공사는 ‘연결성’, 여행사는 ‘서비스’라는 기본에 충실하겠다는 이야기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와 관련된 규제가 완화된 지역부터 공급과 수요가 집중됐지만 올해는 대부분의 입국 조건이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간 ‘리셋’ 상태에서 경쟁을 펼치기 때문이다.

여행사들은 차별화된 패키지 상품을 무기로 출격한다. 지난해 여행사들은 실험적으로 기획한 각종 테마 상품들로 소비자들의 확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여행사들은 올해 테마와 타깃을 더욱 세분화하고 상품 비중도 더욱 확대하겠다는 자신감을 드러냈다. 특히 기존 패키지여행의 주 고객층이었던 중장년층은 물론 MZ세대를 새로운 주요 타깃으로 주목하고 투 트랙 전략을 펼치겠다는 계획이다. 코로나19 이후 해외여행 사업에 새롭게 뛰어든 플랫폼들도 주목할 대상이다. 야놀자, 여기어때는 국내여행을 바탕으로 존재감을 키운 데 이어 올해는 해외여행 사업에 도전장을 내밀며 공격적인 영업을 예고했다.

국내 항공사들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인수‧합병에 촉각을 세운다. 양사의 합병을 통한 시너지 효과도 기대하는 한편 양사가 반납하게 될 중복‧독점 운항 노선의 운수권을 기회로 노리는 시선도 많다. 특히 국내 저비용항공사들이 운항하지 않는 장거리 노선을 두고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가 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양사가 중장거리 네트워크 확대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친 만큼 각각 보유한 중대형 항공기 A330-300, B787-9를 중장거리 노선에 활용하는 데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항공 여객 수요는 중국 시장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더라도 2019년의 85.5%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이 1월8일부터 해외여행 규제를 해제하기로 하면서 여행업계의 시선이 쏠렸다. 다만 업계는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세에 대한 우려로 항공 복원 속도는 더딜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은 베이징 거리 풍경 / 픽사베이 
중국이 1월8일부터 해외여행 규제를 해제하기로 하면서 여행업계의 시선이 쏠렸다. 다만 업계는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세에 대한 우려로 항공 복원 속도는 더딜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은 베이징 거리 풍경 / 픽사베이 

인‧아웃바운드 양대산맥 일본‧중국에 주목

일본과 중국은 올해 한국 여행시장을 좌우할 주요 목적지다. 중국과 일본은 내국인의 해외여행지로서는 물론 우리나라 인바운드 시장에서도 1,2위를 차지할 만큼 영향력이 커서다. 2019년 내국인 출국자 중 19.4%가 일본, 15.1%는 중국으로 향했다.

실제로 일본 여행 시장의 회복세는 놀랍다. 일본정부관광국(JNTO)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 수는 2019년 동월대비 53.8% 증가한 31만5,400명으로 이미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뛰어 넘었다. 항공 공급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난 결과라 올해 일본 시장에 거는 기대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엄격한 코로나19 규제를 고수하던 중국은 연초부터 입국 규제 완화 카드를 꺼내들었다. 전 세계 항공 수요에서 강한 영향력을 가졌던 시장인 만큼 중국에 대한 기대감은 커졌지만 한편으로는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세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공존하고 있다. 항공 복원은 생각보다 더딜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2019년 국제선 전체 여객 중 중국 노선의 여객수가 약 20%를 차지했다는 점에서 여행산업이 정상화로 향하는 길에 중국 시장이 필요하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