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박사 IT Travel 칼럼니스트
양박사 IT Travel 칼럼니스트

IATA의 새로운 구상은 항공사 PSS(Passenger Service System)의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연계할 수 있는 새로운 API 호출 방식을 통해 현실화됐다.

물론 이미 많은 항공사들은 기존의 Direct API 방식을 통해 PSS의 콘텐츠를 유통시킬 수는 있으나 문제는 각 항공사의 운영방식에 따라 API 구성 방식이 모두 제각각 이라는 점이다. 이는 API 연결을 통해 다양한 항공사의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여행사에게 그만큼의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부담을 안겨줄 수밖에 없고 선뜻 Direct API 연결에 나설 수 없게 하는 것이다.

이런 현실적 문제 해결을 위해 IATA는 항공사가 판매할 수 있는 모든 상품과 관련된 항공권 가격, 스케줄, 마일리지, 부가서비스 등과 같은 데이터를 끌어올 수 있도록 NDC를 설계했고 각 항공사와 여행사들 사이를 연결해줄 새로운 ‘일원화된 API 호출 방식’을 만들게 된 것이다.

Direct API가 그동안 많은 진화를 거치며 그 능력은 개선되어 온 것은 사실이나 Direct API를 통해서는 항공사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맞춤화(Customization) 혹은 개인화(Personalization)를 충분히 구현할 수 없고 무엇보다 부가서비스 판매를 위해서는 또 다른 시스템들과 연결이 필요하다는 큰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여행사와 정산 과정의 효율성이나 각종 데이터를 활용한 정보 생산성 등을 고려해볼 때 Direct API는 GDS를 대체할 수 있는 궁극적인 수단이 될 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IATA의 새로운 구상을 시뮬레이션 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항공사들은 판매를 원하는 추가 수하물, 기내식, 라운지 서비스, 업그레이드 옵션 등이 자유롭게 구성된 상품 데이터를 IATA가 제시한 API 문서 양식에 맞춰서 송부한다. 그리고 여행사는 각 항공사들로 부터 일원화된 데이터 양식을 호출하여 보다 쉽게 판매 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항공사와 여행사 간의 정산은 기존 BSP를 이용하거나 글로벌 항공사와 여행사를 위해서는 IFG(IATA Financial Gateway)를 도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바로 이러한 가정들을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로 IATA가 구상한 NDC인 것이다.

위 시뮬레이션에서 각 과정은 Offer(제공하기)/Order(주문하기) management로 항공사와 여행사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NDC가 새롭게 정의내리고 있다. 간략히 설명하면 Offer management는 항공사가 팔고 싶은 상품을 직접 원하는 방식으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나의 도구라고 할 수 있겠다. 항공사가 팔고 싶은 상품에는 항공사가 직접 운영하는 운항 스케줄, 항공권 가격, 부가서비스부터 더 나아가 호텔, 렌터카 등의 외부 공급자 서비스 영역의 상품까지도 포함한다. 판매 방식에 있어 일반 리테일 업계에서처럼 정확한 타깃의 고객층을 찾아 할인가를 제시하거나 고가 상품 구매 시 다른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등 유연하게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다이내믹한 판매 환경을 만들어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항공사가 제공한 상품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여행사 혹은 기타 유통 채널들이 쉽게 받아 판매 및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가 ‘Order management’다. 실제 구매와 정산 그리고 승객의 탑승으로 최종 상품의 유통이 완료되는 순간까지의 모든 과정을 관리할 수 있으며 예약 및 발권, 수입 관리 및 정산 그리고 탑승과 관련된 DCS(Departure Control System)까지를 그 범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음 편에서는 지금까지 알아본 NDC가 제시하는 새로운 방식과 개념들이 어떻게 기존의 GDS와 차별화 되는지에 대해 좀 더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