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법인 한국노사관계진흥원 ​​​​​​​안치현 대표 노무사
노무법인 한국노사관계진흥원 안치현 대표 노무사

근로기준법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기간제법) 제17조에서는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하는 사항을 명시하며, 이에 대한 서면 체결 및 교부 의무를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있다.

근로기준법 제17조에 따른 필수 기재사항은 ▲임금(구성항목·계산방법·지급방법) ▲소정근로시간 ▲휴일 ▲연차유급휴가다. 기간제법상 서면 명시 사항은 ▲근로계약기간 ▲근로시간·휴게 ▲임금의 구성항목·계산방법 및 지불방법 ▲휴일·휴가 ▲취업의 장소와 종사 업무 ▲(단시간 근로자인 경우)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이며 근로기준법과 비교하면 대동소이하다.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근로계약서 양식이 있다면 자율적으로 확인해보고, 없다면 표준 근로계약서 양식을 참고하여 근로계약서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시 근로자 수에 따라 적용되는 근로기준법 조항이 달라지거나 새로운 법령이 생기기도 하고, 임금이 아무리 많더라도 근로시간에 따라 때로는 최저임금 위반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내용적인 측면도 정기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114조에 따르면 동법 제17조를 위반한 사용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는 형사처벌에 해당하고 반의사불벌죄도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초범인 경우 기소유예를 받을 수 있지만, 단순한 위반도 약식기소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근로기준법과 별도로 기간제법 제17조 위반에 따른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규정(동법 제26조)도 존재한다. 동법 시행령 제6조 별표3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근로계약기간 ▲임금의 구성항목·계산방법 및 지불방법 ▲(단시간 근로자인 경우)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에 대한 명시 위반은 각 50만원 ▲근로시간·휴게 ▲휴일·휴가 ▲취업의 장소와 종사 업무 명시 위반은 각 30만 원이 부과된다. 과태료는 항목별로 부과되므로 부담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법적 의무를 준수하기 위해서는 물론, 상호 이해에 기초한 협력적 노사관계를 만들어나가는 측면에서 적법한 근로계약서를 구비하고 교부하는 것은 탄탄한 인사노무관리의 초석이다.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