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열린 한국여행업협회(KATA) 국내여행위원회 회의에는 하소연과 원성이 가득했다. 국내여행 수요급감에 대한 하소연이었고, 이렇다 할 대책 없이 무신경한 정부에 대한 원성이었다. 실적은 지난해 이맘때와 비교해 10분의1 수준으로 뚝 떨어졌는데 반등 기미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그나마 소비자들의 여행사 이용 비율이 높았던 섬 여행마저 세월호 참사 이래 계속 침체돼 있다고 했다. 갈수록 어려워지니 이제는 그만둬야지 싶다던, 30년 넘게 국내여행사를 운영한 A사장의 얼마 전 한탄과 일맥상통했다. 그렇다고 누구 하나 나서주지 않으니 막막함을 넘어 분노가 치미는 것일 테다. 

국내여행 활성화는 정부의 단골 관광정책이다. 매년 기회 있을 때마다 국내여행 활성화를 강조하고 숱한 대책을 쏟아놓는다. 허울만 보면 국내여행사의 하소연과 원성은 죄다 무색하기 짝이 없는 투정에 불과할 수도 있다. 자세히 보면 그렇지 않다. 국내여행 활성화가 ‘국내여행업 활성화’를 의미하지 않아서다. 정부의 국내여행 활성화는 국민들의 국내여행 총량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산업으로서의 국내여행업에 대한 배려는 없다고 봐야 한다. 여행사를 이용하든 말든 여행상품을 구매하든 말든 관심사가 아니다. 국민들의 국내여행만 늘리면 그만이다. 

‘관광주간’도 국내여행업을 배려하지 않은 국내여행 활성화 정책 중 하나다. 지난해 처음 도입됐지만 국내여행사들은 시큰둥했다. 가만 둬도 여행객들로 넘쳐나는 5월과 10월 성수기에 관광주간을 설정한 것부터 이해불가였지만 딱히 여행사가 참여할 만한 부분도 마땅치 않아서였다. 올해도 별반 다르지 않다. “시기만이라도 6월과 11월 비수기로 조정하면 좋겠는데 ‘흥행’ 때문에 그러지 못하는 것 같다”는 나름 일리 있는 분석도 나돌았다. 

어찌됐든 5월 관광주간(5월1일~14일)이 다가오고 있다. 여행사를 대상으로도 ‘관광주간 추천 여행상품’ 공모에 들어갔다. 아쉽지만 국내여행업과 맞닿는 부분은 사실상 거기까지다. 지금이라도 국내여행업과의 접점 확대를 모색해야 한다. 그래야 하소연과 원성을 해소할 수 있다.
 
김선주 기자 vagrant@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