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산악회와 같이 여행업에 등록하지 않은 단체가 사실상의 불법 여행업을 하고 있는 문제점을 다룬 기사와 관련해 신분을 밝히지 않은 한 독자로부터 ‘시각이 다소 편협하다’는 지적을 들었다.

독자의 주장, “현상황에서는 무(無)등록보다는 미(未)등록이라는 표현이 더 적합하다.” 독자의 해석, “무등록이든 미등록이든 둘 다 관광진흥법상의 여행업체로 등록하지 않은 것은 똑같지만 등록하지 않게 된 배경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무등록은 고의성이 개입되지만 미등록은 무지와 불가피함이 크게 작용한다는 게 그 독자의 풀이였다.

“산악회는 정기적으로 등반여행을 떠난다. 가끔 출발가능 인원수가 모자라 이를 채워보려는 순진한 생각에 비회원을 대상으로도 참여를 유도할 때가 있는데, 과연 그게 불법 여행업 행위임을 인식하고 그랬겠는가.”

배경을 고려하지 않고 등록하지 않고 여행 알선을 했다고 해서 무조건 불법으로 몰아서는 안된다는 얘기였다.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는 게 사실이지만 수많은 답사단체들이 여행업 등록 없이도 매주 답사여행을 떠나고 있는 현실을 두고 볼 때 시사하는 바가 없지만은 않다.

“일부 답사단체들이 여행업 등록을 하지 않는 이유는 답사여행 형태에 맞는 여행업 범주가 없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나 신원불명 독자의‘미등록’주장은 결국 현재의 획일적이고 ‘단순명료한’ 여행업 분류체계의 포용성 혹은 다양성 부족을 꼬집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동안 여행의 형태는 끊임없이 세분화, 다양화돼왔다. 생태체험, 농촌체류 여행 등 새로운 개념의 여행형태가 탄생하고 발전해왔으며 앞으로 그 폭과 속도는 더욱 넓어지고 빨라질 것이다. 문제는 과연 일반, 국내, 국외 3종류로만 분류된 현재의 여행업 분류가 그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겠는가이다.

김선주 기자 vagrant@traveltimes.co.kr"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