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1개 인증 받으나 10개 인증 받으나 거기서 거기 아닙니까?”

우수여행상품 인증신청 접수가 마감된 뒤 한 여행사 담당직원은 지난해보다 턱없이 적게 인증신청을 한 이유에 대해 이와 같이 설명했다. 이는 지난해 첫 시행에서 우수여행상품 인증마크가 인증된 상품에만 국한되지 않고 마치 정부가 여행사 전체를 우수여행사로 인증한 듯이 사용된 것을 상기하고 한 말일 게다. 1개라도 인증만 받으면 신문광고에 인증마크를 사용할 수 있는데 구태여 추가비용 부담을 감수하면서 여러 상품을 인증 받을 필요가 있냐는 논리인 것이다.

우수여행상품 인증제도는 상품의 우수성에 대한 인증이지 여행사에 대한 우수성 인증은 아니다. 때문에 인증마크를 마치 ‘우수여행사 인증마크’인양 사용하는 것은 엄밀히 따지면 허위과장 광고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런데도 지난해 인증마크를 활용한 과대홍보 등이 가능했던 까닭은 첫 시행에 따른 시행착오와 함께 제도의 활성화 및 정착을 위해 정부나 시행기관이 유연하게 운영했던 데 따른 측면도 크다. 실제로도 그와 같은 운영방식이 여행사 참여유도와 소비자 인지도 제고에 나름대로 기여했다.

그러나 느슨하고 유연한 운영이 언제까지나 제도 정착과 활성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자칫하면 제도 자체의 신뢰도와 위상에 돌이킬 수 없는 흠집을 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근 마감된 인증신청 결과 지난해의 절반 수준을 밑도는 503개의 상품이 접수됐다. 이와 같은 결과가 각 여행사가 엄선된 ‘소수정예의 상품’만을 접수시킨 데 따른 게 아니라 효과에 대한 의문과 지난해 운영상의 허점을 파고 든 결과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우려감을 지울 수 없다. 두 번째 시행이니 만큼 올해는 원칙과 유연성 사이에서 적절한 접점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김선주 기자 vagrant@traveltimes.co.kr
"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