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중 관광비자와 방한 단체관광 재개 임박
인두세 여전할까 인바운드 여행사는 한숨

·정부가 3월1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후 PCR검사 의무를 해제했다. 인·아웃바운드 여행 재개는 이르면 4월 말에야 가능할 전망이다. 사진은 칭다오 / 여행신문CB
·정부가 3월1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후 PCR검사 의무를 해제했다. 인·아웃바운드 여행 재개는 이르면 4월 말에야 가능할 전망이다. 사진은 칭다오 / 여행신문CB

정부가 3월1일부터 중국·홍콩·마카오 출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후 PCR검사 의무를 해제하는 등 여행 제한을 일부 완화했지만, 인·아웃바운드 시장 회복세는 4월 말에야 점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김성호 제2총괄조정관은 22일 “오는 3월1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후 PCR검사를 해제한다”고 밝혔다. 중국발 입국자의 양성률이 1월 1주 18.4%에서 2월 3주 0.6%로 떨어져 방역 조치의 추가적인 완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이어 “인천공항 외의 다른 공항을 통한 입국도 재개하겠다”라며 “입국 전 PCR검사와 Q코드 입력 의무화는 3월10일까지 연장해 다른 조치들 중단에 따른 영향을 확인한 후 평가를 거쳐 종료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웃바운드(한국인의 해외여행) 업계는 중국여행 재개 시기를 이르면 4월 말로 내다봤다. 23일 현재 중국 정부가 방중 관광비자를 발급하지 않고 있지만, 3월 초에 열리는 중국 양회에서 관광 정책 변화가 있으리라는 기대에서다. 한 종합여행사 관계자는 “관광비자 발급 재개 시점을 3월 말~4월 초로 예상하며, 중국여행은 이르면 주요 노선 공급이 확대되는 시기인 4월 말에 재개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여행 회복세가 본격화되는 시점으로는 하반기를 예상했다.

주요 여행사들도 중국팀 정비에 나섰다. 하나투어는 일본팀·동남아팀으로 파견했던 기존 중국팀 직원들을 다시 복귀시키고 있고, 모두투어는 중국팀 조직 구성을 비롯해 베이징 지사를 통해 현지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다. 주요 항공사들도 한중 노선 재개를 적극 모색하는 중이다. 앞서 한중 양국이 항공공급을 주100회로 증편하는 데 합의했고, 지난 17일 한덕수 국무총리는 "한국과 중국간 국제선 항공편을 이달 말까지 주80회로, 다음달부터는 주100회까지 단계적으로 늘려 나가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인바운드(외국인의 한국여행) 업계는 5월 초 중국 노동절 연휴를 주시하고 있다. 중국인의 해외 단체여행 허용국가에서 한국이 제외된 상태이지만, 곧 가능해지리라는 조심스러운 예측에서다. 한 중국전담여행사 관계자는 “노동절 연휴 전후인 4월 말에서 5월 초를 중국 인바운드의 1차 회복시기라고 보고, 3월부터 들어올 견적을 통해 분위기를 보려고 한다”라고 전했다. 노동절 연휴를 시범기간으로 삼고 준비를 마쳐야 10월 국경절 대목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중국시장에 대한 리스크도 무시할 수 없다. 중국 인바운드는 2017년 사드 여파로 방한 중국인 수가 전년대비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고, 이후 코로나로 여행이 전면 중단되는 등 긴 침체기를 겪어왔다. 한 인바운드 여행사 관계자는 “사드 여파로 갑작스럽게 전세기가 중단되면서 당시 큰 손해를 떠안았는데 중국시장은 워낙 변수가 많다보니 뚜껑을 열어보기 전까지는 알 수 없다”고 토로했다. 중국인의 한국여행의 경우 2017년 말처럼 상하이, 베이징 등 일부 지역에 한해 먼저 재개할 수도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대다수의 전문 인력이 다른 직종으로 빠져나간 상태이지만 불확실성이 높아 충원도 어려운 상황이다. 

자금 확보도 난관이다. 기존에 중국 인바운드는 ‘노투어피’를 넘어 ‘인두세’가 만연했을 정도로 덤핑이 심했기 때문이다. 인두세란 여행사가 여행객 1인당 일정금액을 미리 지불하고 유치한 뒤 쇼핑으로 메우는 개념이다. 한 중국전담여행사 관계자는 “중국 현지에서는 벌써부터 과거와 같은 수준으로 인두세를 받겠다는 얘기가 들려온다”라며 “차량수배도 어렵고 지상비가 최소 50% 오른 상황에서 인두세까지 내야 한다면 중소여행사는 당장 행사를 운영할 여력도 없을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이어 “중국전담여행사가 초기 회복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무담보 저리 대출, 세제 지원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