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간 송도서 열려, 상담‧콘퍼런스 등 프로그램 알차
MICE 셀러, 바이어 사전 비즈니스 매칭만 3천건 이상

‘2024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KME2024)’가 11월6일~8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된다 / 한국MICE협회
‘2024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KME2024)’가 11월6일~8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된다 / 한국MICE협회

‘2024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KME2024)’가 11월6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막을 올렸다. 이번 행사는 사단법인 한국MICE협회가 주최·주관하며, 인천관광공사 공동주관, 문화체육관광부, 인천광역시, 한국관광공사가 후원한다.

KME2024는 MICE산업 박람회로 올해 25회째를 맞았다. 전국 각 지역의 민·관·학 MICE산업 관계자뿐만 아니라 해외 MICE 관계자가 참여해 글로벌 MICE산업 대표 박람회의 면모를 보였다. 올해는 사전등록자 중 신규 참가자 수의 비율이 약 30%에 달하며, MICE 산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지자체 공무원, 대학생 등의 참여도 늘었다. KME2024는 11월6일부터 8일까지 진행된다.

네트워킹 만찬 KME Night에서 참가자들이 건배하고 있다 / 한국MICE협회 
네트워킹 만찬 KME Night에서 참가자들이 건배하고 있다 / 한국MICE협회 

KME2024에는 전시부스 홍보와 비즈니스 상담, 콘퍼런스, 네트워킹 만찬(KME Night)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올해는 300개 이상 기관 및 기업이 셀러로, 31개국 130여명의 국내외 MICE 주최기관 및 기업이 바이어로 참여했다. 바이어와 셀러 간 사전 비즈니스 매칭은 3,000건을 넘었으며, 현장 상담을 감안하면 4,000건 이상 비즈니스 매칭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시 참가사들의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하고자 전시장 내 피칭존을 마련해 참여 기관과 기업의 MICE 상품 및 서비스, 정책, 비전, 협업파트너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올해 참석한 해외 바이어 상당수가 KME 첫 참가인 신규 바이어다. 향후 5년 이내 해외에서 MICE 행사 개최 계획이 있으며, 조직 내 최종 의사결정자 또는 구매자인 경우가 약 70%로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MICE의 새로운 물결과 트렌드를 선도한다는 의미를 담은 ‘KME 콘퍼런스 - MICE Wave’도 진행된다. 3일 동안 12개 세션 20여명의 연사를 만날 수 있다. ▲트렌드·정책 ▲테크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MICE 비전과 미래를 담은 정책과 적용 가능한 기술 등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한국, 중국, 일본 MICE 협회가 공동 참여하는 ‘한중일 MICE 포럼’은 올해 첫 개최를 계기로 연례 포럼으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3국의 협력적 관계는 아시아의 MICE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한국MICE협회 신현대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 한국MICE협회
                     한국MICE협회 신현대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 한국MICE협회

올해 KME2024의 특별함 중 하나는 MICE 산업 전체를 아우르기 위한 유관기관과의 협력이다. 매년 한국전시주최자협회에서 주최하는 ‘대한민국전시산업대전’이 올해는 KME2024와 같은 기간, 같은 공간에서 개최된다. 한 자리에서 MICE산업의 동향을 파악하고, 업계 관계자를 모두 만날 수 있다. 또, 문화체육관광부, 한국PCO협회, 한국관광정책연구학회, 한국MICE관광학회, 한국비즈니스이벤트컨벤션학회, 한국무역전시학회, MICE Tech Alliance 등 MICE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세션을 공동 운영해 전문성과 시너지를 더했다.

저작권자 © 여행신문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